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말라리아 예방약, Drugs used in the prophylaxis of malaria https://wwwnc.cdc.gov/travel/yellowbook/2018/infectious-diseases-related-to-travel/malaria#5216
Mefloquine 내성 지역 여행자들에게 말라리아 예방약을 처방할 때 고려할 점 Mefloquine 내성 지역 여행자들에게 말라리아 예방약을 처방할 때 고려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Atovaquone-proguanil(말라론)을 처방할 것인가? 독시싸이클린을 처방할 것인가? 말라론의 큰 장점은 귀국 후 7일 정도만 복용하면 된다는 점 말라론의 큰 단점은 비용이 비싸다는 점 독시싸이클린의 큰 장점은 비용이 제일 싸다는 점 독시싸이클린의 큰 단점은 귀국 후 4주 동안 약을 복용해야 한다는 점 두 약제 모두 출발 1-2일 전에 복용한다는 것과 매일 복용한다는 것은 같습니다. REF. https://wwwnc.cdc.gov/travel/yellowbook/2018/infectious-diseases-related-to-travel/malaria#5216
수혈가이드라인 [혈액제제별 수혈지침] 5. 백혈구제거 혈액제제
수혈가이드라인 [혈액제제별 수혈지침] 4. 동결침전제제
수혈가이드라인 [혈액제제별 수혈지침] 3. 신선동결혈장제제
수혈가이드라인 [혈액제제별 수혈지침] 2. 혈소판제제
성인 지역사회획득 폐렴 항생제 사용지침, 2017 ⑦ 폐렴의 보조 치료 및 예방 침습성 S. pneumoniae 질환에 대한 위험인자들로는 65세 이상의 나이, 요양기관에 있는 사람, 치매, 경련성 질환, 울혈성 심부전, 심혈관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이전 폐렴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만성 간질환, 당뇨, 무비증, 만성 뇌척수액 누출 등이 있다. 문헌들을 바탕으로 하였을 때 23가 다당질 S. pneumoniae 백신은 65세 이상 노인에서 44-75% 정도의 침습성 S. pneumoniae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었고[1, 2], 만성질환자들에서는 이보다 약간 효과가 떨어졌다[3]. 최근 여러 코호트 연구들에서는 전체 폐렴, S. pneumoniae 폐렴, 폐렴으로 인한 입원, 사망 또한 줄여줄 수 있다고 보여 주었으나[4-9], 일부에서는 전체 폐렴이나 폐렴으로 인한 입원에는 ..
성인 지역사회획득 폐렴 항생제 사용지침, 2017 ⑥ 폐렴 치료의 효과평가 일반적으로 폐렴의 방사선학적 이상 소견은 임상 증상의 호전보다 더디게 나타난다. 중증 폐렴으로 입원한 288명의 환자들을 전향적으로 관찰하였을 때, 7일 째 56% 환자에서 임상적 호전을 보였으나 25% 환자에서만 방사선학적으로 호전이 관찰되었으며, 28일째 78% 환자에서 임상 소견으로는 폐렴이 완치 되었으나 흉부 X-ray에서는 53% 환자에서만 병변이 소실되었다[1]. 응급실 및 외래에서 81명의 지역사회획득 폐렴 환자를 대상으로 24주까지 흉부 X-ray를 추적 관찰한 연구에서도 50.6% 환자에서만 2주 째 병변이 소실되었으며, 4주째에도 66.7%에서만 병변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2]. 주로 다엽성 폐렴에서 방사선학적 호전이 더디었으며, 환자의 나이나 기저 폐질환 여부에 따라 흉부 X-ray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