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내과/심부전 썸네일형 리스트형 심부전 정의와 뉴욕심장협회(NYHA) 기능 분류 가이드라인에서 사용된 정의3.2. 정의GDMT (Guideline-Directed Medical Therapy): 임상 실무 지침에서 사용을 지지하는 치료 옵션.HF (심부전): 보편적인 심부전 정의에 따라, 구조적/기능적 심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부전 증상 및/또는 징후를 의미하며,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나트륨이뇨펩타이드(natriuretic peptides) 상승심장으로 인한 폐부종 또는 전신 울혈의 객관적 증거HFrEF (좌심실 수축기 기능 저하 심부전, HF with reduced EF): 심부전의 임상적 진단과 좌심실 박출률(LVEF) ≤40%.HFmrEF (중간 범위 좌심실 박출률을 가진 심부전, HF with mildly reduced EF): 심부전의 임상적 진단과.. 심부전증 치료에서 목표 기반 약물치료(GDMT)를 최적화하는 방법 : SGLT-2 억제제 1. SGLT-2 억제제의 기전과 당뇨병 치료 효과SGLT-2 억제제(Sodium-Glucose Cotransporter-2 Inhibitor)는 신장의 근위 세뇨관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억제하여, 포도당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양을 증가시키고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합니다. 이로 인해 당화혈색소(HbA1c) 감소 효과가 나타나며,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되었습니다.2. SGLT-2 억제제의 심혈관 보호 효과SGLT-2 억제제는 원래 혈당 강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심혈관 보호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DAPA-HF 연구에서는 좌심실 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환자 중 NYHA(뉴욕심장협회) 기능분류 II-IV에 해당하는 대상자에게 다파글리플로진(dapagliflozin)을 투여했을 때, ..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차단제: HFrEF 치료에서의 역할 알도스테론은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의 핵심 요소로, 나트륨 저류, 교감신경 활성화, 그리고 심근 섬유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MRA)는 이러한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좌심실 수축기능 저하 심부전(HFrEF) 환자에서 심장의 구조적 개선(reverse remodeling)을 유도하는 중요한 치료제입니다. MRA의 임상적 근거RALES 연구에서는 ACE 억제제(ACEi) 치료를 받는 HFrEF 환자에게 스피로노락톤을 추가했을 때 사망률과 이환율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후 EPHESUS 연구에서는 급성 심근경색 후 HFrEF 환자에서 선택적 알도스테론 차단제인 에플레레논이 사망률을 낮추는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또한 EMPHASIS-HF 연구를 .. 심부전(HFrEF)의 이해와 치료 전략 심부전(Heart failure)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임상적 증후군입니다. 특히 좌심실 박출률이 40% 이하로 감소한 경우를 좌심실 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이라고 합니다. 초기에는 디곡신과 이뇨제를 활용한 치료가 주로 이루어졌으나, 이후 심부전의 병태생리에 대한 연구가 발전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약물 요법이 개발되었습니다. 현재 HFrEF 치료의 핵심은 가이드라인 기반 약물 치료(GDMT, Guideline-Directed Medical Therapy)로, 네 가지 주요 약물군이 포함됩니다.HFrEF 치료의 핵심 약물군베타 차단제(Beta Blockers, BB)미.. [다파글리플로진] DAPA-HF trial은 EF≤40%에서 심혈관 사망 또는 심부전 악화 위험을 줄였습니다. DELIVER trial은 EF>40%의 결과입니다. 2022.09월 NEJM에 실린 내용으로 이전에 블로그에서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sjloveu2/222861643324 https://blog.naver.com/sjloveu2/222861643324 포시가정, 박출률 경도 감소 심부전 또는 박출률 보존 심부전에서 다파글리플로진/Dapagliflozin [DEL 다파글리플로진 = Dapagliflozin = 포시가 = Foxiga SGLT2i는 EF ≤40%인 만성... blog.naver.com 심부전의 치료 [1] [2022 심부전 진료지침] 권고 종류 1 해야 한다. 권고한다 > 2a 타당하다. 도움이 될 수 있다 > 2b 고려할 수 있다 > 3 추천되지 않는다 가이드라인을 읽을 때 의식하면서 보는 부분인데 이번 2022 심부전 진료지침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한글 표현에 해당하는 영어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hould be. be indicated. be recommended. be usful. be effective. be beneficial > 2a reasonable. can be useful. can be effective. can be benefical be probably recommeded/indicated > 2c may be reasonable. may be considerd. usefullnes.. 심부전의 정의와 진단 [2022 심부전 진료지침] 권고 종류 1 해야 한다. 권고한다 > 2a 타당하다. 도움이 될 수 있다 > 2b 고려할 수 있다 > 3 추천되지 않는다 가이드라인을 읽을 때 의식하면서 보는 부분인데 이번 2022 심부전 진료지침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한글 표현에 해당하는 영어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hould be. be indicated. be recommended. be usful. be effective. be beneficial > 2a reasonable. can be useful. can be effective. can be benefical be probably recommeded/indicated > 2c may be reasonable. may be considerd. usefullnes.. 심박출 감소 심부전 (HFrEF)에서 가이드라인에 근거한 치료와 SGLT2i에 대한 내용 (해리슨 21판, 2022 AHA/ACC/HFSA Guideline, UpToDate) 해리슨 21판 Guideline-directed pharmacologic therpay ACEI - lisinopril, enalapril, captopril, trandolapril ARB - losartan, valsartan, candesartan Aldosterone antagonists - eplerenone, spironolactone Beta blockers - metoprolol succinate CR/XL, carvedilol, bisoprolol Arteriovenous vasodilators - hydralazine isosorbide dinitrate, fixed-dose hydralazine/isosorbide dinitrate Angiotensin receptor-neprilys.. 이전 1 2 3 4 ··· 8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