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내과/부정맥 썸네일형 리스트형 직접작용 경구용 항응고제(DOAC, Direct Oral Anti-Coagulant), 에독사반 (릭사아나정) 하루 2회 - 다비가트란, 에픽사반하루 1회 - 에독사반, 리바록사반DOAC 중에서 에독사반(Edoxaban)에 대한 정리에독사반 (Edoxaban)은 일반적으로 모니터링 없이 고정된 용량으로 투여됩니다 (위에 언급한 표). 흡수는 음식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VTE (정맥 혈전 색전증) 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에독사반은 5~10일 간의 비경구 항응고요법 후에 투여됩니다. 일반적인 투여 용량은 하루에 한 번 30mg 또는 60mg을 경구로 복용하는 것입니다. 에독사반은 신장을 통해 배설되며, P-glycoprotein의 기질입니다. 제품 라벨에는 높은 크레아티닌 청소율(CrCl > 95mL/분)을 가진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효능이 감소한다는 경고 문구가 있습니다. 제품 정보는 Cr.. 심실성 빈맥의 종류 및 치료 심실성 빈맥이란, 심실 조기 박동 (PVC, premature ventricular complex)이 연속하여 3회 이상 나타나거나, 심실에서 기원한 분당 100회 이상인 빈맥을 의미합니다. ECG 상에서는 넓은 QRS 간격의 (>0.12s) 빈맥이 관찰되며, 대부분의 경우 p파가 관찰되지 않지만, p파와 QRS 파가 서로 연관성 없이 각각의 주기로 반복되는 AV dissociation 소견이 보이기도 합니다. VPB 또는 NSVT (비지속성 심실 빈맥, 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VPB 또는 NSVT (비지속성 심실 빈맥, 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는 부정맥의 지속 기간이 30초 미만이며, 혈역학적 불안정이 없는 심.. 전극도자절제술은 말기 심부전과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에서 이득을 나타냄 이 연구는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무작위 시험으로서, 모든 원인 사망을 포함한 임상 결과에 꽤 인상 깊은 이득을 보였습니다. 심방세동에서 전극도자절제술에에 대한 수많은 임상 시험들이 있고 거의 모든 시험들에서 HFrEF 환자에서 의미 있는 이득을 보였습니다. 이 연구는 심장 이식 평가를 위해 의뢰된 증상이 있는 심방세동과 EF 35% 이하 심부전 환자 194명을 무작위 할당하여 guideline-directed medical therapy 또는 catheter ablation plus guideline-directed medical therapy를 시행하였습니다. 18개월 중간값 추적 관찰 동안, 전체 사망률/LV assist device 삽입/긴급 심장 이식의 합을 나타내는 일차 종말점은 약물 치료.. 급성 심정지, 돌연 심장사의 원인으로서 다형성 심실빈맥 Sudden cardiac death = SCD Sudden cardiac arrest = SCA = aborted SCD SCD, SCA는 대부분 구조적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정상 심장 SCD는 SCD 케이스의 10-15% 정도이지만 젊은 사람에서는 그 비율이 ~40%까지 증가하다. 따라서 정상 심장인 SCA는 젊은 심정지 사람에서 더 흔하다. 명백한 구조적 심장 질환이 없는 대부분의 SCD 환자들은 실질적으로 정상 심장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진단적 수단이 구조적, 기능적 이상을 확인하지 못하는 것 같다. 예전에는 많은 원인들이 unknown이었지만 좀 더 완전한 평가로 이러한 환자들에서 primary electrical disorder (예, long QT, Wolff-Pa.. 류마티스성 승모판 협착증과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에서 항응고치료 심방세동, 좌심방 혈전, 이전 색전 병력으로 인하여 항응고치료를 필요로 하는 류마티스성 승모판 협착증 환자에서 항응고제로서 DOAC보다 비타민K길항제 (예, 와파린)를 권고합니다. 목표 INR은 2.5 (범위 2.0-3.0)입니다. 이를 지지하는 연구는 INVICTUS trial입니다. 심방세동과 류마티스성 승모판협착증이 있는 환자에서 항응고제 선택을 안내할 자료는 제한적이었습니다. 류마티스 심장질환과 심방세동이 있는 4500명 이상의 성인을 등록한 무작위 시험 (INVICTUS trial)에서 사망률과 뇌졸중 비율은 VKA보다 리바록사반에서 더 높았고 주요 출혈율은 비슷했습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류마티스성 승모판 협착증과 심방세동이 있는 사람에게 리바록사반과 같은 DOAC보다 VKA를 권고합니다. .. PCI를 시행 받는 경구 항응고제로 치료 중인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혈전치료, A North American Perspective: 2021 Update ■ Clopidogrel보다 potent한 ticagrelor, prasugrel을 OAC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출혈 위험이 clopidogrel보다 높다. VKA + aspirin + prasugrel은 출혈 위험이 4배 증가 (관찰 연구). 1. 기본 전략은 아스피린은 peri-PCI 기간만 사용한다. 퇴원시 중단하며 ~1주일까지 사용할 수도 있다. 1년까지 double therapy (OAC + P2Y12 inhibitor)를 사용하고 1년 이후 P2Y12 inhibitor도 중단한다. 2. 허혈/혈전 위험이 높고 출혈 위험이 낮은 경우에 허혈/혈전 위험은 첫 한 달 동안 가장 높으므로 아스피린을 한 달까지 사용할 수 있으나 그럴지라도 한 달을 초과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3. 허혈/혈전 .. 베타차단제 복용에도 호전되지 않은 심실조기수축 2020.04 2020.06 2021.01 베타차단제 그리고 또는 non-dihydropyridine CCB로 심실조기수축이 조절되지 않으면 (증상 +/- 빈도) 항부정맥약물을 고려할 수 있고 항부정맥약물 사용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환자가 항부정맥약물을 복용하고 싶지 않으면 그 다음 선택은 심실조기수축을 없애는 catheter ablation입니다. Approach to treatment in patients with premature ventricular complexes (PVCs) Catheter ablation If beta blockers and/or non-dihydropyridine calcium channel blockers are ineffective or not pref.. 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NSVT), treatment 일반적으로 기저 심질환이 없는 환자에서 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NSVT)가 있는 경우 증상이 없다면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CHD, HF와 같은 기저 심장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최적의 의학적 치료를 해야 합니다. 기저 심질환이 없는 환자에서 증상이 있다면 보통 베타차단제로 치료를 합니다. 베타차단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는 nondihydropyridine calcium channel blockers (verapamil, diltiazem)를 추가합니다. 이 추가 약제는 구조적으로 정상 심장인 환자에서만 투약되어야 합니다. 항부정맥약물은 베타차단제와 nondihydropyridine CCB 사용에도 불구하고 심한 증상..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