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미주신경성 실신, Vasovagal syncope 20대/환자 오늘 전철타고 출근하는데(서 있다가) 식은땀, 어지럽고, 심해지면 까맣게 보였다. 앉거나 물을 먹거나 휴식을 하면 괜찮다. 계속 서 있으면 그런 증상이 있다. 약간 미식거린다. 오래 서 있어서 쓰러진 병력이 있다. 오늘 내원한 환자입니다. 환자는 빈혈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빈혈 검사 위해 내원하였습니다. 몇 일 전에 보았던 전공의 시험 문제와 아주 유사했습니다. Impresssion : 미주신경성 실신, Vasovagal syncope
조영제 사용 전 금식 금식국내 많은 병원에서 CT 또는 MRI 조영제에 의한 오심, 구토 및 이에 동반된 흡인성 폐렴의 예방을 목적으로 조영증강 검사 전 금식을 시행하고 있다. 조영제의 발전과 함께 오심, 구토 등 부작용의 비율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조영증강 검사 전 금식은 관행적으로 지속되어왔다. 이러한 금식지침은 전신마취 하에 시행하는 수술 전 금식에 대한 권고에 일부 근거를 두고 있다. 최근 개정된 전신마취 하 시술 전 금식 지침에서는 물과 같은 맑은 액체류(clear fluid)는 2시간, 수유는 4시간, 이유식 및 우유는 6시간, 고형식은 6시간의 금식을 권고하고 있으나, 마취를 하지 않거나 국소마취 하에 시행하는 시술에서는 적용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관행적 검사 전 금식은 환자에게 불편감을 줄 뿐 아니라 소아 ..
주사용 요오드화 조영제 및 MRI용 가돌리늄 조영제 유해반응에 관한 한국임산진료지침, 본문, 2016
메트포민을 복용 중인 환자에서 조영제 사용, Contrast in patients taking metformin 당뇨병으로 메트포민을 복용 중이라면 조영제를 이용한 CT 촬영 48시간 이전에 중단하라고 합니다. CT를 의뢰하더라도 메트포민을 48시간 이전에 중단해 달라는 말을 듣습니다. 한국 임상진료지침에는 eGFR이 60 이상인 경우에는 메트포민을 중단할 필요 없으며 eGFR을 추적할 필요도 없다고 되어 있습니다. eGFR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조영제 사용 이전에 메트포민을 중단하고, CT 촬영 48시간 이후에 eGFR을 재평가하여 메트포민을 다시 사용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UpToDate는 이보다 더 권고사항이 더 완화되어 있습니다. Metformin은 eGFR 30미만인 환자에서 lactic acidosis 위험을 올릴 수 있으므로 금기이며 eGFR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CT 촬영 이전에 메트포민을 중단할..
암 환자에서 예방접종, Immunizations in adults with cancer 암 환자에서 예방접종의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항암 치료 이전 예방접종 모든 indicated vaccines은 가능하다면 항암 치료 이전에, 다른 면역 억제 치료 이전에, 방사선 치료 이전에, 비장절제술 이전에 주사되어야 합니다. Inactivated vaccines은 항암 2주( ≥2 weeks) 이전에 주사해야 하며 live virus vaccines은 4주( ≥4 weeks) 이전에 주사되어야 합니다. ② 항암 치료 중 live vaccines은 피해야 합니다. 항암 치료 중이거나 다른 면역 억제 치료 중인 환자는 백신으로 인한 감염 가능성 때문에 live virus vaccines을 맞아서는 안됩니다. ③ 항암 치료중 inactivated immunization Inactivated vac..
비타민 B12 결핍, 치료, Vitamin B12 deficiency, treatment 비타민 B12 결핍의 치료 비타민 B12 공급에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intramuscular 2. deep subcutaneous 3. oral 4. sublingual 5. intranasal ●Pernicious anemia 에서는 parenteral 방법으로 투약하고 전형적으로 IM 또는 subcutaneous injection으로 합니다. 용량은 4주 동안은 일주일에 한 번씩 1000 mcg (1 mg) 투약하고 이후에는 한 달에 한 번씩 1000 mcg 투약합니다. 이것은 관찰 연구에서 효과적이었습니다. 치료는 무기한 지속합니다. ● IF의 생성이나 intrinsic factor-vitamin B12 complex 흡수에 영향을 주는 위장관 해부학의 변화가 있는 경우, 즉 bari..
고혈압 약제 선택 시 고려 사항 수 많은 가이드라인과 메타 분석들은 어떤 혈압약을 선택하든지 혈압 감소 정도가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서 심혈관 위험을 줄이는 주된 결정인자라고 결론내렸습니다. 즉 혈압약 선택이 심혈관 위험을 줄이는 주된 결정인자가 아닙니다. 어떤 혈압약을 선택하든지 혈압 감소 정도가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서 심혈관 위험을 줄이는 주된 결정인자 일부 환자들은 primary hypertension과 관계 없이 특별한 약물에 대한 “compelling” indication이 있습니다. 1. Thiazide-like diuretic 또는 long-acting dihydropyridine calcium channel blocker는 black patients에서 초기 치료 선택 약제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2. ACE inhibito..
주사용 요오드화 조영제 및 MRI용 가돌리늄 조영제 유해반응에 관한 한국임산진료지침, 요약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