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내과/부정맥 썸네일형 리스트형 PCI를 시행한 항응고제를 복용 중인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혈전 치료, Antithrombotic Tx in Pts c AF OAC undergoing PCI (2) Circulation. 2018;138:527–536. DOI: 10.1161/CIRCULATIONAHA.118.034722 항응고제 복용 중 PCI를 시행한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혈소판 치료 전략 대부분의 환자에서 병원 퇴원 직후 바로 double-therapy regimen을 고려해야 합니다(default strategy). 금기가 없는 한 NOAC을 VKA보다 우선하여 고려해야합니다. 단일 항혈소판제로는 P2Y12 inhibitor를 선호하고 가능한 빨리(퇴원시를 포함) 투약해야 합니다. 허혈/혈전 위험이 높고 출혈 위험이 낮은 일부 환자에서 ~1개월까지 삼중 치료로서 아스피린을 사용하는 것은 합리적입니다. 클로피도그렐이 P2Y12 inhibitor의 DOC이지만 허혈/혈전 위험이 높고 출혈 위험이 .. PCI를 시행한 항응고제를 복용 중인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혈전 치료, Antithrombotic Tx in Pts c AF OAC undergoing PCI PCI를 받은 항응고 요법 중인 환자는 일정 기간 아스피린 , P2Y12 receptor blocker, OAC 삼중 항혈전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일정 기간의 경우 대부분은 퇴원 시점까지이며 ishcemic/thrombotic risk가 높고 출혈 위험이 낮은 경우는 ~ 1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내용은 UpToDate 2020.02.08이여 일정 기간에 대한 설명을 위해 붙인 그림은 Circulation. 2018;138:527–536에서 참고하였습니다. Circulation. 2018;138:527–536. DOI: 10.1161/CIRCULATIONAHA.118.034722 PCI를 받은 항응고 요법 중인 환자는 일정 기간 아스피린 , P2Y12 receptor blocker, OAC 삼중 항.. PSVT, 3 가지 경우 ① ② ③ ① PSVT : 약물 투약 후 좋아진 경우 https://blog.naver.com/sjloveu2/220473159904 ② PSVT : Valsalva maneuver와 carotid sinus massage 후에 좋아진 경우 https://blog.naver.com/sjloveu2/221331514662 ③ PSVT : 저절로 좋아진 경우 ㉮ 증상을 느꼈을 때(2년 전) ㉯ 증상이 있어 내원 당시, pulse taking에서 불규칙한 리듬이 있음 확인 다음과 같은 리듬이었을 것으로 여겨짐 ㉰ 심전도로 확인할 당시에는 정상 리듬으로 되돌아 옴. 2년에 15회 정도의 발작성 부정맥 병력이 있어 상급 병원 의뢰함. 원래 2년 전에 ㉮ 부정맥 확인 후 의뢰하였으나 환자가 병원 외래를 가지 않.. 심계항진 → 갑상선 기능항진증? 이번에는 조절되지 않은 당뇨병으로 탈수로(몸 상태가 안 좋아져서 생긴) 인한 빈맥 심계항진으로 내원한 30대/남자 HR 98회 전후의 sinus tachycardia 갑상선 호르몬 검사에서 갑상선 기능항진증이 확인되었고 자가항체 음성이며 갑상선 초음파에서 특이 소견 없습니다. 이렇게 심계항진, 동성빈맥으로 내원한 환자들 중에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혈액검사를 권유합니다. 그런다면 다음 환자는? 똑같이 심계항진으로 내원하였고 HR 104회/분 정도의 동성빈맥으로 내원하였습니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일까 했는데... HbA1c 11.2 %의 당뇨병이었습니다. 고혈당으로 인한 탈수로 몸상태가 안 좋아져서 그랬던 것 같습니다. 트레시바 인슐린과 경구약제 사용 1개월 후에 당화혈색소 8.5%로 감소하여 인슐린 중단하였고 그럼에도 공복혈당 100 전후로 유지되어 경구약제만 유지.. Efficacy and Safety of NOAC in AF pts with impaired liver funsction : A Restrospective Cohort Study Conclusions In AF patients with ILF, NOAC therapy was associated with lower risk of death compared with warfarin therapy,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S/SE, major bleeding, or gastrointestinal bleeding. Absolute annual risk reduction of main clinical outcomes with DOAC Dabigatran, rivaroxaban, apixaban, and edoxaban are associated with a relative risk reduction of 10% for death and approximately 50% for intracranial hemorrhage compared with warfarin ( Table 76-4 ). Overall, these agents are as or more effective and safer than warfarin for preventing stroke or systemic embolism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 for VTE these agents are probably no more eff.. Potential uses of oral thrombin and factor Xa inhibitors In patients over age 75 years, these agents appear to be at least as effective as vitamin K antagonists: compared with warfarin, the direct oral factor Xa inhibitors apixaban and edoxaban have lower bleeding risks, rivaroxaban has similar bleeding risks, and dabigatran has higher risks for gastrointestinal bleeding but lower risks for intracranial bleeding. For cancer-associated VTE, edoxaban is.. 심방세동 환자의 추적 관찰 동안 뇌졸중 위험 재평가, CHA2DS2-VASc score reassessment during follow-up with AF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경구 항응고제는 CHA2DS2-VASc score 0점인 남자와 1점인 여자에서 생략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 위험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약 90% 환자는 뇌줄중으로 내원하기 전에 적어도 1개의 새로운 위험 인자가 생깁니다. 그러므로 처음에 CHA2DS2-VASc score 0점인 남자와 1점인 여자이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comorbidities를 갖는 심방세동 환자는 더 이상 low risk가 아닙니다. 1997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새롭게 진단된 AF이면서 CHA2DS2-VASc score 0점(남자 8745명), 1점(여자 5861명)이며 항혈소판제와 경구항응고제를 복용 중이지 않은 14606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입.. 이전 1 2 3 4 5 6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