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내과(위장관) 썸네일형 리스트형 DOAC을 복용 중인 경우 용종절제술을 계획할 때 Low/moderate bleeding risk surgery의 경우 시술 전날 DOAC을 중단하고 출혈이 없다면 시술 하루 후 (약 24시간) 개시합니다. 총 중단 기간은 2일입니다. High bleeding risk surgery의 경우 시술 전 2일 동안 DOAC을 중단하고 (약 48시간) 출혈이 없다면 시술 2일 후 (약 48시간) 개시합니다. 총 중단 기간은 4일입니다. 일부의 경우 1일 더 추가로 기다려서 개시하기도 합니다. 신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 apixaban, edoxaban, rivaroxaban의 경우 일정 조정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지만 dabigatran의 경우 신기능이 CrCl 50 mL/min) and individuals taking apixaban, edoxaban, or .. 호산구성 식도염, Harrison's 21st edition ■ 호산구성 식도염의 진단기준, 내시경 소견, 치료 https://blog.naver.com/sjloveu2/222889905242 호산구성 식도염 ① 진단 기준 ② 내시경 소견 ③ 치료 호산구성 식도염 (eosinophilic esophagitis, EoE) 진단 기준 : 다음 모든 것을 만족해야 Esophageal dy... blog.naver.com ■ 해리슨 21st edition 내용은 uptodate 내용과 비슷. EoE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에서 1만명당 4-8건이다. 그 이유는 발생률이 증가하기도 하지만 이 질환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완전히 이해할 수 없지만 EoE와 역류식도염 사이의 관련성이 있다. 식도 증상과 호산구 우세 염증을 입증하는 식도 점막 조직검사를 .. 호산구성 식도염 ① 진단 기준 ② 내시경 소견 ③ 치료 호산구성 식도염 (eosinophilic esophagitis, EoE) 진단 기준 : 다음 모든 것을 만족해야 Esophageal dysfunction과 관련된 증상 식도 조직검사에서 호산구 우세 염증, 호산구 ≥15/HPF 식도의 호산구 증가와 증상을 일으키는 다른 원인들 배제 : 식도의 호산구 증가가 단순히 호산구성 식도염에서만 있는 것은 아니다. ■ 호산구성 식도염의 진단 기준은 처음 개념적으로 정의되었 때부터 계속 진화해 왔으며, 이전 가이드라인과 대조적으로 하루 2회 PPI 사용 2개월 이후에도 식도 점막에 존재하는 호산구 증가 지속은 더 이상 호산구성 식도염 진단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다. PPI에 반응하는 호산구성 식도염은 '호산구성 식도염'과 구별되는 질환이라기보다 '호산구성 식도염'의 하.. 십이지장 궤양과 헬리코박터 감염과의 관련성 [십이지장 점막의 위상피화생] Metaplasia (화생)는 분화된 한 세포가 다른 분화된 세포로 변질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은 정상 성숙 과정 중의 한 형태일 수도 있고 비정상 자극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이미 분화를 마친 조직이 형태적, 기능적으로 다른 조직의 성상을 띠는 병적인 현상을 말한다. 태생기의 조직이 생리적으로 성숙조직으로 변화해 나가는 것을 분화라 하여 화생과 구별한다. 화생은 만성염증이나 비타민 A 결핍외에 내분비 영향등이 원인이 된다. 직접화생과 간접화생으로 구별되고 전자는 기존의 조직이 직접 다른 형태의 조직으로 바뀌는 것이고 후자는 재생 과정속에서 생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화생 [metaplasia, 化生, Metaplasie]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Mi.. 양성자펌프억제제의 작용 기전, Mechanism of action of proton pump inhibitors [위산분비억제제] 다음 그림은 프로톤펌프억제제의 작용 기전을 설명할 때 자주 언급됩니다. 양성자펌프 억제제는 parietal cells에서 위산 분비 마지막 단계인 H-K-ATPase를 억제합니다. Figure 1 Parietal cell activation by histamine is followed by an intracellular increase in the cAMP-dependent protein kinase cascade (adenosine 3',5'-cyclic monophosphate), while gastrin and acetylcholine result in an intracellular increase in the calcium (Ca2+)-dependent cascade, all leading to .. 도스탈리맙 (Dostarlimab), MSI-Hig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PD-1 Inhibitor인 dostarlimab은 MSI-Hig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에서 효과적이었습니다. 작은 규모의 phase 2 trial에서 dostarlimab으로 치료받은 모든 환자들은 comple clinical response에 도달했습니다. 직장암의 표준 치료 방식은 수술 전 항암방사선 치료 후 수술과 수술 후 항암치료였으나 neoadjuvant therapy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high rectal cancers는 직장암의 드문 유형으로서 immune checkpoint inhibitors에 높은 반응률을 보입니다. 이 연구는 단일 기관, phase 2 trial이며 anti–PD-.. 충수염 예방적 항생제 [천공되지 않은 충수염과 천공된 충수염에서 예방적 항생제 사용] 천공되지 않은 충수염에서 항생제 선택 급성 충수염 환자는 IV 수액, 전해질 이상 시 교정, 통증 조절, 수술 전후 항생제 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예방적 항생제는 충수 절제술 후에 생길 수 있는 복강내 감염과 상처 감염을 예방하는데 중용합니다. 충수의 세균은 대장의 것을 반영하며 그람음성 호기성균과 혐기성균을 포함합니다. 응급실에 내원한 이후 지체 없이 충수절제술을 위해 바로 수술방으로 이송될 예정인 환자는 초기 피부 절개 전 60분 이내에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 받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술 상처 감염 예방을 위한 1회 수술 전 항생제 투약이 적절합니다. ⊙ 세포시틴 2 g, IV ⊙ 세포테탄 2 g, IV ⊙ 세파졸린 2 g + 메트로니다졸 500 mg IV ⊙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에 알레르.. 초기 항생제에 따른 장기적 충수절제술 비율 합병증이 없는 충수염에 대한 수술에 대한 대안으로 항생제 치료가 제안되었습니다. 2020년에 the Comparison of Outcomes of Antibiotic Drugs and Appendectomy (CODA) trial에서 항생제 치료를 받은 환자의 30일 일반 건강 상태가 충수 절제술 그룹과 비슷하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약물 치료를 받은 환자의 29%는 90일 경과까지 충수절제술을 받았습니다. Long-term 이 시험의 장기적 데이터는 이제 확인시켜 주는데 초기 약물 치료 후 후속 충수절제술의 비율이 높다는 것입니다. 1년에 40%, 2년에 46%, 3년과 4년에 49%입니다. 이러한 높은 충수절제술 비율을 감안할 때 우리는 합병증이 없는 충수염에 대한 수술을 계속 제안하고 의학적으로 .. 이전 1 2 3 4 5 6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