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내과(위장관) 썸네일형 리스트형 식도이완불능증의 치료 선택, Choice of treatment, achalasia Esophageal pressurization(High-resolution manometry (HRM)) 양상에 따라 achalasia는 다음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Chicago Classification(CC, version 3.0 [CC-3])). Esophageal pressure topography plot of achalasia subtypes in the Chicago Classification In each case, the 30 mmHg isobaric contour is highlighted in black and there is impaired EGJ relaxation evident by the EGJ never relaxing to less than 30 mmHg in .. Acute colonic ischemia와 chronic mesenteric ischemia의 증상과 징후 Acute colonic ischemia의 증상과 징후 Acute colonic ischemia 환자들은 보통 영향을 받은 대장(가장 종종 좌측) 부위의 급성으로 발생한 경한 복통과 압통을 호소합니다. 통증은 대변을 급하게 보고 싶은 느낌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소장 허혈과 비교하여 대장 허혈을 수반하는 cramping pain은 보통 배꼽 근처보다는 복부 바깥쪽에서 있으며 종종 혈변과 관련이 있습니다. 경도~중등도 정도의 rectal bleeding(밝은색 또는 적갈색)은 보통 복통 발생 24 시간 이내에 발생합니다. 복통 없이 빈번하게 출혈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출혈은 우측 대장보다는 좌측 대장 허혈에서 더 빈번하며 약 15 %의 환자들은 출혈의 증거 없이 복통만 있습니다. Chronic .. 구불창자꼬임, 임상 특징, Sigmoid volvulus, clinical features 구불창자꼬임에 대한 기출 문제에 대해 네이버카페에서 질문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저를 비롯하여 다른 내과전문의 선생님들도 틀린 답을 골랐습니다. 왜 그랬을까?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45세 여자가 2일 전에 대변을 보고 난 후 배가 불러온다고 병원에 왔다. 음식을 먹으면 속이 메스꺼워 토했다고 한다. 1일 전에 좌약을 넣고 변을 조금 보았다고 한다. 혈압 120/80 mmHg, 맥박 88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7.2도이다. 배 청진에서 장음은 증가하고 배는 팽만하고 배꼽 주위 압통이 있지만 반동압통은 없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부 컴퓨터 단층활영사진이다. 진단은? 배 청진에서 장음은 증가하고 배는 팽만하고 배꼽 주위 압통이 있으면서 복부 CT 사진에서 mesentery.. 철결핍성빈혈은 남자와 폐경후 여성에서 위장관암의 강력한 예견인자입니다 2002년 NHANES I의 보고에서 9024명의 성인을 2년 동안 추적 관찰하는 동안 위장관암이 18명 발생하였습니다. 철결핍성 빈혈이 있는 폐경전 여성은 위장관암이 없었고, 철결핍성빈혈이 있는 남자와 폐경후 여성에서는 2%, 철결핍성빈혈이 없는 남자와 폐경후 여성에서는 0.2%에서 위장관암이 있었습니다. 철결핍성빈혈은 남자와 폐경후 여성에서 위장관암의 강력한 예견인자입니다. In a 2002 report from the firs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NHANES I) that included 9024 adults, 18 new gastrointestinal malign.. 연하곤란의 증상에 근거한 감별 진단, Symptom-based differential diagnosis of dysphagia Benign esophageal strictures의 대부분은 오래 지속된 GERD로 발생하지만 25 % 정도에서는 GERD와 관련 없이 발생하며 postsurgical stricture도 이 중의 하나입니다. 치료는 acid-suppressive therapy와 dilation이며 esophageal dilators에는 mechanical (push-type or Bougie) dilators와 balloon dilators가 있습니다. 어느 하나의 기술이 다른 하나의 기술보다 우위에 있는지는 내시경 시술자의 경험에 크게 의존합니다. Symptom-based differential diagnosis of dysphagia : Achalasia는 liquids 단독 또는 liquids와 solids .. 과민성 대장 증후군과 만성 변비,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chronic constipation 20대 환자가 내원하였습니다. 오래 전부터 변비가 있었고 아주 간혹 설사가 있기는 하였지만 거의 변비가 있었다고 하였습니다. 복통은 없는 편이고 따라서 배변에 따른 복통 호전은 가늠하기 어려웠으며 배변과 관련된 증상 호전은 평가하기 어려웠습니다. '오래 전부터 과민성 대장 증후군 진단을 받았고 약을 복용해 왔어요' 복통도 아니고, 배변과 관련하여 호전되는 복통도 아니고, 그렇다고 변 성상이 변비로 되는 것도 아니고.........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거의 변비인........그래서 만성 변비 같은데 환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라고 알고 있으니... 환자들은 처음 진단받은 진단명에 각인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환자분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보다는 만성 변비라고 생각합니다' Chronic .. 크린뷰올산이 레몬맛에서 오렌지 맛으로 바뀌었습니다. 크린뷰올산이 레몬맛에서 오렌지 맛으로 바뀌었습니다. 좌측의 불투명 표지는 맛이 바뀐 새로운 포장이고 우측의 투명 포장은 기존 것입니다. 나머지 박스 포장은 이전과 같습니다. 흑색변이 생길만한 약을 먹지 않았는데도 흑색변이 지속되면 응급 내시경과 수혈과 혈액검사가 바로 이루어지는 병원으로 가세요 일주일 전에 얼굴이 창백하고 일어날 때 현기증이 발생한 30대 남자가 내원하였습니다. 몇 일전부터 흑색변을 본다고 하였습니다. 상급병원 응급실로 보냈고 Hb 7정도여서 수혈을 받았고 위내시경로 지혈술을 받았다고 하였습니다. 진단은 십이지장 궤양이었습니다. 본원 혈액검사에서 Hb 15 정도 확인되었던 환자이므로 절반의 피가 빠져 나간 셈입니다. 다음 환자도 흑색변이 지속되어 타의원에서 PPI를 일주일 정도 처방 받아 위내시경을 위해 내원한 환자입니다. Hb은 10.5이므로 1/3 정도는 출혈이 있었던 셈입니다. 두 명 모두 흑색변이면 출혈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지 몰랐다고 했습니다. 의사가 아니면 그럴게 생각할 수 있지요. 흑색변이 생길만한 약을 먹지 않았는데도 흑색변이 지속되면 응급 내시경과 수혈과..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