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내과/부정맥 썸네일형 리스트형 재발성 심방 세동을 예방하기 위한 카테터 전극도자절제술 이후의 항응고 치료, Postprocedural anticoagulation in catheter ablation[AF] Postprocedural anticoagulation in catheter ablation[AF] 성공적인 시술 후 첫 24 시간 이내에 항응고 요법은 크게 시술 전 항응고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나의 접근법을 다른 접근법과 비교하는 연구는 없었으며 우리는 다음을 제안합니다. 1. [와파린 복용 중 INR이 치료 범위에서 조절되는 경우] 이전에 와파린을 복용하였고 INR 관리에 문제가 없었던 사람에서는 와파린을 계속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술하는 날 아침에 복용량이 주어진 것으로 가정하고 첫 번째 시술 후 용량은 시술 다음 날이어야 합니다. 2. [와파린 복용 중 INR이 치료 범위 이하인 경우] Subtherapeutic INR 범위에서 시술을 받은 와파린을 복용한 환자의 경우, shea.. NOAC [성분명, 상품명] 리바록사반 Rivaroxaban = [자렐토 Xarelto] 아픽사반 Apixaban = [엘리퀴스 Eliquis] 에독사반 Edoxaban = [릭시아나 Lixiana] 다비가트란 Dabigatran = [프라닥사 Pradaxa] 리바록사반 Rivaroxaban [자렐토 Xarelto] 아픽사반 Apixaban [엘리퀴스 Eliquis] 에독사반 Edoxaban [릭시아나 Lixiana] 다비가트란 Dabigatran [프라닥사 Pradaxa] 2018 대한부정맥학회 심방세동 환자에서 NOAC 사용 지침: 출혈의 대처와 수술 전후 복약관리 서 론 심방세동 환자에서 혈전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항응고 치료가 필수적이다. 비-비타민K 길항 항응고제(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 [NOAC], 다비가트란, 아픽사반, 리바록사반, 에독사반)는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여러 무작위 대조군 연구에서 비타민K 길항제(와파린)에 비하여 우월한 안전성을 보여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2015년 국내 보험 급여가 인정된 후부터 국내 NOAC 사용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들의 항응고 치료율도 고무적으 로 높아지고 있다. NOAC가 와파린보다 안전한 이유는 뇌출혈의 발생 위험을 와파린에 비하여 크게 줄여서이다. 하지만 위장관 출혈 위험은 NOAC 사용.. Sinus tachycardia와 atrial tachycardia 감별 Sinus tachycardia와 atrial tachycardia 감별 Sinus tachycardia는 일반적으로 빠른 맥박이 신체 진찰에서 확인된 이후 심전도를 촬영하면 알 수 있습니다. 12 leads 심전도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Lead I과 lead II의 upright P 파는 tachycardia의 sinus origin을 가리킵니다. 그러나 P 파가 분당 140회 이상으로 빨리 뛰면 확인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P파가 선행하는 T 파와 겹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렇게 되면 sinus tachycardia는 또 다른 심실상성 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와 혼동될 수 있습니다. 즉 narrow QRS파가 빨리 지나간다고 모두 AVRT나 .. 심방세동에서 항응고 치료시 bridging AF에서 embolization의 예방 항응고 치료를 시작할 때 IV heparin으로 bridging 치료를 권고하지 않습니다. 특히 NOAC를 사용하는 경우 그렇습니다. 단독으로 경구 항응고제를 시작할지 아니면 헤파린(unfractionated heparin 또는 LMWH)과 함께 쓸지에 대한 선택은 출혈 합병증의 위험과 비교하여 향후 며칠 이내에 발생할 thrombus와의 비교에 근거합니다. 이전 혈전색전 병력이 없는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AF) 환자에서 와파린으로 항응고 치료를 하는 며칠 이내에 thromboembolic event가 발생할 위험은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warfarin을 사용 시 bridging을 하지 않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In patie.. 심부전 환자에서 심방세동의 급성기 치료, AF in patients with HF, acute management 초기 전략은 심방세동의 심박수를 느리게 하는 동안 이뇨제, 혈관확장제와 다른 약제들로 심부전을 치료하는 것입니다. HFpEF과 congestion 또는 저혈압이 있는 환자에서는 IV digoxin 또는 IV amiodarone이 급성기 심박수 조절을 위해 권고됩니다. 베타차단제는 decompensated heart failure 환자에서 안정화된 이후에 시작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nondihydropyridin CCB는 negative inotropic effect로 인하여 피해야 합니다. 일단 급성 decompensated heart failure가 적절하게 치료되면 digoxin 또는 베타차단제에 반응이 없거나 투약할 수 없는 환자에서 만성 ventricular rate 약제로서 아미오다론이 투약.. 심방 조기 수축, 약물 치료, Atrial premature beat, medical therapy 증상이 있는 atrial premature beats(APBs) 환자에서 금기가 없다면 베타차단제를 사용합니다. 베타차단제는 APBs를 억제하지는 않으나 post extrasystolic beat에서 보이는 증가된 inotropy를 줄임으로서 증상을 줄이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베타차단제의 반응은 다양하며 일부에서는 완전한 관해가 있지만 일부는 효과가 미미합니다.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type IA, type IC, type III가 APBs의 빈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 약물은 또한 APBs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비록 대조 연구들이 많은 이 약제들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을지라도, 몇 가지 보고는 성공적인 사용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약물의 투약은 proarrhythmia의 위험과 균형을 이.. 심부전과 심방세동에서 전극도자 절제술, Catheter ablation for atrial fibrillation with heart failure 심부전과 심방세동이 있는 많은 환자들에서, 심방세동 치료를 위해 rate control보다는 rhythm control을 선호합니다. Rhythm control은 항부정맥 약물이나 catheter ablation(CA)으로 달성될 수 있습니다. 많은 이와 같은 환자들에서 CA의 사용을 지지하는 가장 강력한 증거는 증상이 있는 환자 363명(paroxysmal 또는 persistent AF, 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 II, III, IV HF, LVEF ≤35%, 항부정맥 약물 치료에 실패 또는 의지가 없는 경우, ICD)을 대상으로 약물 치료(rate 또는 rhythm)와 CA을 비교한 CASTLE-AF randomized trial에서 나왔습니다. CA는 모든 원인으로.. 이전 1 ···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