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염내과

당뇨병 환자에서 무증상 세균뇨가 있으면 치료를 왜 하지 않는가?, Asymptomatic bacteriuria in pts with DM 당뇨병 환자에서 무증상 세균뇨Asymptomatic bacteriuria in pts with DM본과 2학년 때에는 치료한다고 배웠는데의사국가고시를 볼 때는 바뀌어서 치료하지 않는다고 외웠습니다.전공의 시절에는 증상이 없으면 검사를 하지 않았지만일상적 검사에서 pyuria가 있으면 항생제를 처방하고 싶은 충동이 들었습니다. Pyuria가 있으면 urine culture를 나가면서 empirically 항생제를 처방해야 하나?Contamination일 수 있으니깐 재검하면 다시 정상일 수 있지 않을까?Urine culture 결과가 없이도 pyuria는 infection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항생제를 주어야 하지 않는가? 지금은 외래 환자만 보니 이런 고민은 잘 안 합니다.입원하고 있는 당뇨병 환자의 ro..
무증상 세균뇨, 누구를 치료하는가? Asymptomatic pyuria, whom to treat 무증상 세균뇨, 누구를 치료하는가? Asymptomatic pyuria, whom to treat 1. PregnancyScreening for and treatment of asymptomatic bacteriuria is warranted for pregnant women. 2. Urologic intervention Screening for and treatment of asymptomatic bacteriuria is warranted for patients undergoing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and other urologic procedures in which mucosal bleeding is anticipated. 3. Renal tra..
홍역의 전염성, Transmission of measles 홍역은 매우 전염성이 높습니다. 감수성이 있는 사람에서 홍역에 노출되면 감염율은 90 %입니다. 전염은 사람과 사람의 접촉뿐만 아니라 공기 확산(airborne spread)을 통해 발생합니다. 홍역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의 감염성 droplets은 최대 2 시간 동안 공기 중에 머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과 사람의 접촉이 없는 경우에도 공공 장소에서 질병이 전파될 수 있습니다. 공항과 비행 중 비행기 승객 간의 홍역 전파가 보고되었으며, 학교 및 인구 밀집 지역에서 대규모 발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홍역 잠복기는 6 일에서 21 일(중앙값 13 일)입니다. Subclinical illness는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전염 기간은 발진 5 일 전부터 발진 4 일후로 추정됩니다. 최대 전염 기간은 환자가..
홍역에 대한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위원회 의견 ​ [대한감염학회] 홍역에 대한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위원회 의견​최근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홍역과 관련하여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합니다.1. 의료시설 종사자, 특히 홍역 환자의 진료에 참여하거나 홍역 환자에게 노출될 위험이 높은 의료시설 종사자에 대한 홍역백신 권고의료시설 종사자는 직업적인 특성상 홍역과 같이 전염력이 있는 환자에 노출될 위험이 높고 본인이 감염되는 경우 감수성이 있는 환자에게 전파시킬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실제로 홍역이 퇴치되거나 발생이 감소한 국가라고 하더라도 의료시설 내에서 홍역의 전파가 이루어진 사례가 종종 보고됩니다. 따라서 의료시설 종사자는 홍역에 대한 면역력이 있는지 명확하게 기록으로 확인이 되어야 합니다. 의료시설 종사자의 홍역 노출위험..
2019 4주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현황 2019 4주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현황참고문헌 : 질병관리본부
포스포마이신, 임신부의 무증상 세균뇨 치료, Fosfomycin, asymptomatic bacteriuria in pregnant women 임신부에서 방광염과 무증상 세균뇨의 항생제는 다음과 같습니다.Antibiotics for asymptomatic bacteriuria and cystitis in pregnancy 임신부 방광염과 무증상 세균뇨 치료로서 fosfomyci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동물 실험에서는 adverse events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임신부에서 무증상 세균뇨 치료로서 fosfomycin, single dose를 사용한 몇 연구들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임신부에서 치료를 위해 사용할 때는 적절한 항생제 기간은 3-7일입니다. Pregnancy Implications Adverse events have not been observed in animal reproduction studies. Fosfomycin cro..
임신부에서 무증상 세균뇨 치료 후 추적 관찰, Asymptomatic bacteriuria following a therapy in pregnancy 단기간 치료 후 여성의 30 %까지 무증상 세균뇨 치료에 실패하기 때문에 추적 배양 검사가 완치 검사로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치료 완료 일주일 후에 이것을 시행합니다. 또한, 우리는 대개 반복적인 세균뇨의 위험 때문에 임신이 완료될 때까지 매월 소변 배양을 반복합니다.​완치에 대한 음성 검사를 받은 여성의 경우, 재검사 필요성과 최적의 재검사 간격에 대한 데이터와 합의가 부족합니다. 재검사가 시행되고 지속적이거나 재발하는 무증상 세균뇨가 확인되면, 아래와 같이 반복 치료가 필요합니다.​1. Management of persistent bacteriuria 첫 번째 후속 배양(완치 검사)이 같은 균주로 세균 성장 (≥ 105 cfu / mL)에 대해 양성인 경우(지속적 세균뇨) 감수성 검..
임신부에서 무증상 세균뇨 치료 이유, Rationale for treatment , asymptomatic bacteriuria in pregnancy 임신부에서 무증상 세균뇨 치료 이유Rationale for treatment , asymptomatic bacteriuria in pregnancy 임신 중 무증상 세균뇨는 신우신염 위험을 증가시키고 preterm birth, low birth infants와 같은 adverse pregnancy outcomes과 관련이 있습니다. 항생제 치료는 연이은 신우신염 위험을 줄이고 개선된 임신 결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것은 무증상 세균뇨가 있는 임산부에서 이루어진 위약/치료하지 않는 것과 항생제 치료를 비교한 14개의 무작위 시험의 메타분석에서 기술되었습니다. 항생제 치료는 무증상 세균뇨를 좀 더 없앴으며(odds ratio [OR] 0.30, 95% CI 0.18-0.53), 신우신염의 발생(OR 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