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내과 썸네일형 리스트형 문정역내과, 요로 감염 항생제 사용지침 2018 ② 단순 방광염(Acute Uncomplicated Cystitis) 1) 배경 및 국내 역학 급성 단순 요로감염은 약 10%의 여성이 1년에 최소 1회 이상을 겪게 되며, 약 60%의 여성이 평생에 걸쳐 최소 한번은 겪게 되는 다빈도 질환이다. 약 5%에서 재발을 겪게 되며, 특히 1년 이내 재발되는 경우가 약 44%에 이른다. 이러한 이유로 급성 단순 요로감염은 항생제 처방 다빈도 질환 중 하나이다. 실제로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외래에서 사용하는 항생제의 약 15%가 요로감염으로 인해 처방된다. 요로감염은 감염 부위에 따라 상부요로감염(신우신염)과 하부요로감염(방광염)으로 분류하며, 비뇨기계의 구조적 이상이나 신경학적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한 요로감염을 단순 요로감염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를 복잡성 요로감염으로 분류한다. 이 장에서는 단순 방광염, 특히 여성에.. 요로 감염 항생제 사용지침 2018 ① 무증상 세균뇨(Asymptomatic bacteriuria) 1) 배경 및 국내 역학무증상 세균뇨는 흔하다. 세균뇨는 해부학적 혹은 기능적 요로계 장애가 있는 사람에서 빈도가 높으나 정상인에서도 종종 발견된다. 대개의 경우 무증상 세균뇨는 부차적인 영향이 없다. 오히려 무증상 세균뇨에 대한 불필요한 항생제 투여로 항생제 내성이 유발되고 약제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항생제 치료는 이득이 밝혀진 사람으로 제한해야 한다. 여성은 나이가 들면서 무증상 세균뇨의 빈도가 증가하는데, 80세 이상 여성은 20%에서 무증상 세균뇨가 발견된다. 건강한 남성은 무증상 세균뇨가 60세까지는 드물다가 80세 이상에서 5~10% 발견된다. 무증상 세균뇨는 신부전이나 고혈압 혹은 사망률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 지역사회 거주 여성에서 무증상 세균뇨의 원인 미생물로 대장균(Es.. 요로 감염 항생제 사용지침 2018 (요약) 요로 감염 질환별 항생제 사용지침은 별도 블로그 글로 작성하겠습니다.다음 내용들은 전체 요약입니다. 머리말요로감염은 지역사회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감염질환으로 감염부위에 따라 상부요로감염(신우신염)과 하부요로감염(방광염, 전립선염)으로 나누어지며, 기저질환의 유무나 요로의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이상에 따라 단순 및 복잡성 요로감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요로감염의 임상 양상은 무증상 세균뇨에서 패혈성 쇼크까지 다양하여 이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적절하게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증 합병증의 예방, 항생제 오남용의 방지 및 내성 세균 발현의 차단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항생제 내성에 대한 2014년도 세계보건기구의 전 세계적인 감시 보고서에서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균에서 세팔로스포린계와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에.. Enterobacteriaceae로 인한 균혈증에서 항생제 사용 기간 Enterobacteriaceae로 인한 균혈증에서 항생제 사용 기간은 1차 원인, 감염의 정도에 더하여 환자의 임상 반응에 의해 결정되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항생제 사용 기간은 7 ~ 14일입니다. 기저 endovascular, bone, joint, or CNS infection이 없고, 감염의 조절되지 않은 병소가 없고, 주된 면역저하 조건도 아니고, 48-72시간 이내에 임상적 호전이 있었던, 즉 항생제 치료에 적절하게 반응한 uncomplicated Enterobacteriaceae 균혈증 환자에서는 14일보다는 7일 치료를 제안합니다. 처음에 항생제는 비경구로 투약되어야 하지만 일단 환자의 열이 내리고 48시간 동안 열이 나지 않으면, 항생제는 in vitro activity가 있고 우.. ESBL 생성 균주에 대한 세팔로스포린의 임상적 효능, Clinical efficacy for ESBL producing organism ESBL생성 K. pneumoniae로 인한 중증 감염을 oxyimino-beta-lactam인 cefotaxime, ceftazidime, ceftriaxone, cefepime으로 치료하는 것은 비록 in vitro 감수성 결과가 입증된다 할지라도 결론적으로 치료 실패일 것입니다. 그러나 ceftolozane-tazobactam과 ceftazidime-avibactam과 같은 cephalosporin-beta-lactamase inhibitor 병합제는 ESBL 생성 균주에 대한 더 큰 activity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유망한 약제입니다. Cephalosporins에 감수성이 있었던 ESBL 생성 K. pneumoniae에 감염된 28명의 환자 중에서, 15명은 cephalosporin 치료 반..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ESBL), treatment ESBL 생성 균주에 의한 중증 감염에서 선호되는 입증된 치료 선택은 카바페넴(imipenem, meropenem, doripenem, ertapenem)입니다. 대부분의 ESBL 감염에서 메로페넴과 이미페넴을 사용합니다. Ertapenem은 내성이 없거나 severe sepsis가 아닌 경우 수긍할만한 선택이 될 수 있으며 외래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습니다. 세팔로스포린-beta-lactamase inhibitor 병합제인 ceftolozane-tazobactam, ceftazidime-avibactam과 broad spectrum tetracycline eravacycline은 비록 현 시점에서 일상적 사용을 권고하기에 임상적 효능에 대한 데이터가 아주 제한적이고 카바페넴보다 부가적인 이득을 제공할지.. ESBL-producing bacteria에 의한 중증감염에서 meropenem과 piperacillin-tazobactam 비교 Meropenem을 포함한 카바페넴은 ESBL을 생성하는 세균에 의한 중증 감염 치료에서 선호되는 항생제입니다. 비록 일부 ESBL 균주가 in vitro에서 piperacillin-tazobactam에 감수성이 있지만, 카바페넴과 piperacillin-tazobactam을 비교 평가한 관찰 연구들은 모호하였습니다. ESBL을 생성하는 E. colin 또는 Klebsillea로 인한 균혈증 환자에서 국제적인 무작위 open-label trial을 시행하였고 30일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은 meropenem과 비교하여 piperacillin-tazobactam 치료 군에서 더 높았습니다(12.3% 대 3.7%). 어떤 제한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소견들은 ESBL을 생성하는 균주에 의한 중중 감염에서.. 단순 방광염에서 1차 항생제, Preferred agents for empiric Tx of acute simple cystitis 급성 단순 방광염에서 선호되는 항생제는 nitrofurantoin nomohydrate/macrocrystals, trimethoprim-sulfamethozaxole, fosfomycin, pivmecillinam입니다. 이에 대한 권고사항은 Clin Infect Dis. 2011;52(5):e103.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이 항생제들이 급성 방광염에 다른 항생제들보다 아주 강력한 효과를 내기 때문이 아니라 효능과 저항 균주 증가와 같은 adverse effects를 고려한 권고사항입니다(efficacy/adverse effects balance). Efficacy/adverse effects balance 차원에서 볼 때 어느 한 약제가 다른 약제들보다 우위에 있지는 않습니다. 예외적으로는 저항성이 ..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