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장내과/심부전

심부전 정의와 뉴욕심장협회(NYHA) 기능 분류

728x90
반응형

가이드라인에서 사용된 정의

3.2. 정의

GDMT (Guideline-Directed Medical Therapy): 임상 실무 지침에서 사용을 지지하는 치료 옵션.

HF (심부전): 보편적인 심부전 정의에 따라, 구조적/기능적 심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부전 증상 및/또는 징후를 의미하며,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1. 나트륨이뇨펩타이드(natriuretic peptides) 상승
  2. 심장으로 인한 폐부종 또는 전신 울혈의 객관적 증거

HFrEF (좌심실 수축기 기능 저하 심부전, HF with reduced EF): 심부전의 임상적 진단과 좌심실 박출률(LVEF) ≤40%.

HFmrEF (중간 범위 좌심실 박출률을 가진 심부전, HF with mildly reduced EF): 심부전의 임상적 진단과 LVEF 41~49%

개선된 EF를 가진 심부전 (HF with improved EF): 과거 LVEF ≤40%였으나 추적 검사에서 LVEF >40%로 상승한 경우.

HFpEF (보존된 좌심실 박출률을 가진 심부전, HF with preserved EF) : 심부전의 임상적 진단과 LVEF ≥50%를 가지며, 침윤성 심근병증, 비후성 심근병증, 판막 질환, 심낭 질환, high-output HF 등의 기저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닌 경우.

HFpEF 유사증 (HFpEF mimics): 심부전의 임상적 진단과 LVEF ≥50%를 가지지만, 주로 심장 외적 원인(신장 또는 간 질환) 또는 심장 질환(침윤성 심근병증, 비후성 심근병증, 판막 질환, 심낭 질환, high-output HF)에 의해 발생한 경우.

뉴욕심장협회(NYHA) 기능 분류

  • 1단계 (Class I): 신체 활동에 제한 없음. 일반적인 신체 활동이 심부전 증상을 유발하지 않음.
  • 2단계 (Class II): 경미한 신체 활동 제한. 안정 시에는 편안하지만, 일반적인 신체 활동 시 심부전 증상이 발생함.
  • 3단계 (Class III): 현저한 신체 활동 제한. 안정 시에는 편안하지만, 일반적인 신체 활동보다 적은 활동에서도 심부전 증상이 발생함.
  • 4단계 (Class IV): 어떠한 신체 활동도 심부전 증상 없이 수행할 수 없음. 안정 시에도 심부전 증상이 존재함.

 
세균맨의 심부전 특강: 정의와 기능분류

세균맨 : "자, 심부전의 정의부터 정확히 알아볼까요? 가이드라인에서는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요?"
의대생 김준서: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신체가 필요로 하는 충분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인 것 같습니다."

세균맨 : "좋은 시도입니다만, 조금 더 정확히 말해볼게요. 최신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심부전은 '구조적/기능적 심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부전 증상 및/또는 징후'를 의미하며,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합니다:
  1. 나트륨이뇨펩타이드(natriuretic peptides) 상승
  2. 심장으로 인한 폐부종 또는 전신 울혈의 객관적 증거
이 정의는 매우 중요합니다. 단순히 증상만으로는 심부전이라고 할 수 없으며, 반드시 객관적인 증거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세균맨 : "이제 심부전의 분류에 대해 알아볼까요? 최신 가이드라인에서는 심부전을 어떻게 분류하고 있을까요?"
의대생 박민우: "좌심실 박출률(LVEF)에 따라 분류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세균맨 : "정확합니다! 좌심실 박출률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합니다:
  1. HFrEF(좌심실 수축기 기능 저하 심부전): LVEF ≤40%
  2. HFmrEF(중간 범위 좌심실 박출률을 가진 심부전): LVEF 41~49%
  3. HFpEF(보존된 좌심실 박출률을 가진 심부전): LVEF ≥50%
그리고 특별한 경우로 '개선된 EF를 가진 심부전'이 있는데, 이는 과거 LVEF ≤40%였으나 추적 검사에서 LVEF >40%로 상승한 경우를 말합니다."

의대생 이소연: "HFpEF와 HFpEF mimics은 어떻게 다른가요?"
세균맨 : "HFpEF는 LVEF ≥50%이면서 침윤성 심근병증, 비후성 심근병증, 판막 질환 등 특정 기저 원인이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반면, HFpEF mimics은 LVEF ≥50%이지만, 주로 심장 외적 원인(신장 또는 간 질환) 또는 특정 심장 질환(침윤성 심근병증, 비후성 심근병증 등)에 의해 발생한 경우를 말하죠."

세균맨 : "이제 심부전 환자의 기능적 상태를 평가하는 NYHA 분류에 대해 알아봅시다. NYHA 분류란 무엇인가요?"
의대생 김준서: "환자의 신체 활동 제한 정도에 따라 심부전을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세균맨 : "NYHA 기능 분류는 심부전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증상 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1단계 (Class I): 신체 활동에 제한 없음. 일반적인 신체 활동이 심부전 증상을 유발하지 않음.
  • 2단계 (Class II): 경미한 신체 활동 제한. 안정 시에는 편안하지만, 일반적인 신체 활동 시 증상 발생.
  • 3단계 (Class III): 현저한 신체 활동 제한. 일반적인 활동보다 적은 활동에서도 증상 발생.
  • 4단계 (Class IV): 어떠한 신체 활동도 증상 없이 수행할 수 없음. 안정 시에도 증상 존재."

의대생 박민우: "환자가 계단을 오를 때 숨이 차다고 하면 어떤 단계로 분류할 수 있을까요?"
세균맨 : "계단 오르기는 일반적인 신체 활동에 해당하므로, 이 때 숨이 차다면 NYHA 2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벼운 집안일이나 옷 입기와 같은 적은 활동에서도 증상이 있다면 3단계로 볼 수 있겠죠."

의대생 이소연: "안정 시에도 호흡곤란이 있다면 4단계인가요?"
세균맨 : "맞습니다. 안정 시에도 심부전 증상이 있고, 어떤 활동을 해도 증상이 악화된다면 NYHA Class IV에 해당합니다. 이런 환자들은 입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고, 예후도 좋지 않습니다."

세균맨 : "오늘 우리는 심부전의 정의와 기능 분류에 대해 배웠습니다. 요약해볼까요?"
의대생 김준서: "심부전은 구조적/기능적 심장 이상으로 인한 증상과 징후를 말하며, 객관적인 증거가 필요합니다."
의대생 박민우: "좌심실 박출률에 따라 HFrEF, HFmrEF, HFpEF로 분류되며, 개선된 EF를 가진 심부전과 HFpEF mimics 같은 특수한 경우도 있습니다."
의대생 이소연: "NYHA 기능 분류는 환자의 증상과 활동 제한 정도에 따라 1단계부터 4단계까지 나뉘며, 이는 환자의 예후와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합니다."

세균맨 : "훌륭합니다! 정확한 심부전의 정의와 분류를 이해하는 것은 임상에서 환자를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기본이 됩니다. 이러한 기초적인 개념을 확실히 알고 있으면, 복잡한 심부전 환자에게도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이런 분류에 따른 구체적인 치료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