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DPP4 억제제 기전, DPP4 inhibitors, mechanism of action Glucagon-like peptide-1(GLP-1)은 소장의 L 세포에서 proglucagon 유전자로부터 생산되며 영양소에 반응하여 분비됩니다(그림 1). GLP-1은 췌장에서 포도당 의존성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여 주 효과를 발휘합니다. 또한 위 배출을 늦추고 부적절한 식사 후 글루카곤 방출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표 1). DPP-4 억제제를 포함한 GLP-1 치료법은 저혈당증을 일으킬 수 있는 치료와 병용하지 않는 한 보통 저혈당증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GLP-1은 인크레틴(incretin)으로 간주되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내장 호르몬 계열 중 하나입니다. 이 호르몬은 식사 상황에서 방출되지만 정맥 내 탄수화물과는 관련이 없으며 인슐린 합성 및 분비를 자극합니다. Multihormonal.. DPP4 억제제와 염증성 장 질환 위험 가능성, DPP4 inhibitors and possible risk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United Kingdom Clinical Practice Research Datalink의 자료를 이용한 population-based study에서 DPP-4 억제제 사용은 다른 당뇨병 약물에 비해 염증성 장 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습니다(53.4 대 34.5/100,000 인년, HR 1.75 , 95 % CI 1.22-2.49). 추적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3.6 년이었습니다. 이 위험은 약제 사용 3 년에서 4 년 사이에 최고로 높았고 4 년 이후에는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가능한 기전에 대한 추가 조사와 확인을 필요로 합니다. REF. UpToDate 2018.05.17 BMJ. 2018 Mar 21;360:k872. doi: 10.1136/bmj.k872. 국내 주요 감염병 발생 현황 (수족구병, 수두, 유행성이하선염) (’18.5.4-5.10) 국내 주요 감염병 발생 현황 (수족구병, 수두, 유행성이하선염) (’18.5.4-5.10) 참고문헌 : 질병관리본부 심실 조기 수축, 예후, Ventricular premature beats(VPBs), prognosis ① VPBs는 종종 미미한 임상적 중요성을 가진 것으로 여겨지지만(특히 심장 질환의 병력이 없는 환자에서) 대부분의 연구에서 VPB 환자의 사망률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심근병증이 없는 환자에서 무증상 VPB의 예방적 치료는 사망률을 향상시키지 못했습니다. 이와 같이, VPB의 존재는 의사에게 추가의 임상 평가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잠재적으로 공존하는 심장 질환을 알도록 합니다. VPBs가 생기는 경우는 다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No underlying structural heart disease 2. Underlying structural heart disease 먼저 분명한 심장 질환이 없는 경우입니다. 명백하게 정상 심장인 환자에서 simple VPB의 존재는 다음.. 슈글렛의 적응증 및 보헙급여 인정 기준, Suglat, ipragliflozin, indication, reimbursement 이바브라딘 치료, 적응증과 금기증, Ivabradine therapy, indications and contraindications 적응증 (①+②+③+④) ① LVEF ≤ 35 %, ② 증상이 있는 chronic stable heart failure (HF), ③ resting heart rate ≥70 bpm인 sinus rhythm, ④ 최대 허용 용량 베타 차단제를 복용 중이거나 사용 금기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우리는 ivabradine 치료를 제안합니다. 동시 치료는 ACEI(또는 ARB)와 mineralocorticoid receptor blocker(칼륨을 적절히 모니터링 할 수있는 경우)를 포함해야 합니다. 우리는 70 bpm 이상의 역치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HFrEF 환자의 입원 위험 감소에 있어 이바브라딘의 효능을 입증한 무작위 임상 시험의 진입 기준이었기 때문입니다. Major society guidelines —.. 유행성 이하선염, 진단, 보건소 신고 Mumps의 진단은 전형적인 증상이 있고 타당한 유행병적 노출이 있는 경우에는 의심되어야 합니다. ※ 전형적 임상 증상 : 이하선염(또는 이하선의 부종), 고환염, 난소염 ※ 유행병적 노출 :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mumps 환자와 호흡기적 접촉 또는 가정 내 접촉 비록 면역이 있는 사람에서도 타당한 증상/징후와 유행병적 노출이 있는 경우에는 의심되어야 하지만 면역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사람은 감염의 고위험군입니다. Mumps 평가를 받는 환자들은 비말격리(droplet precautions)를 해야 합니다. 이하선염(또는 다른 침샘 부종)이 있는 경우에 진단은 특징적인 임상 특징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Mumps 진단을 위한 검사는 침샘 외 침범 그리고/또는 가능한 mumps 발생(outbr.. 올바른 마스크 착용법(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이전 1 ··· 363 364 365 366 367 368 369 ··· 4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