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내과(간)/B형간염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III 자연경과 만성 B형간염은 감염 후 6개월 이상 HBsAg이 존재하는 경우로, 만성 B형간염의 자연 경과는 면역관용기, HBeAg 양성 면역활동기, 면역비활동기, HBeAg 음성 면역활동기, HBsAg 소실기로 나뉘어진다(Table 2). 이러한 임상 단계들은 지속기간이 다양하며, 환자에서 항상 연속적이지 않으며 어느 한 단계에 정확히 부합하지 않는 회색지대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단 1회의 alanine aminotransferase(ALT), HBV DNA 검사를 통하여 해당하는 임상 단계를 단정짓거나 항바이러스 치료 시작을 결정하는 것은 부적절한 경우가 많다(Fig. 1) 만성 B형간염의 면역학적 자연 경과(1) 만성 B형간염, 면역관용기(chronic hepatitis B, immune tolerant ..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II 역학 B형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3억 5천만 명의 만성 감염자가 있고 매년 60만 명 이상이 관련 질환으로 사망하는 중요한 질환이다. 우리나라에서도 B형간염은 1970년대부터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및 간세포암종 발병의 주요 원인으로 국민보건의 중요한 질환으로 인식되어 국가 예방접종 사업의 대상이 되는 질환이다. B형간염 백신이 상용화되기 이전인 1980년대 우리나라의 B형간염 바이러스(HBV) 감염률은 8-10%의 높은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1983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백신이 사용된 이후, 1991년 신생아 예방접종 사업, 1995년 국가 예방접종 사업, 2002년 주산기 감염 예방사업이 시작되면서 HBV 감염률은 점차 감소하여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HBsAg 양성률은 10세 이상의..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I 서론 개정 취지 및 목적본 가이드라인은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진료를 담당하는 의료진에게 이 질환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진료와 관련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대한간학회에서 2004년 최초 제정되었고 이후 2007년, 2011년 및 2015년에 총 세 차례 전면 개정된 바 있으며 2014년도에는 내성 치료 관련한 부분 개정이 있었다. 외국에서도 아시아태평양간학회, 유럽간학회, 미국간학회 등에서 각각 2015년, 2017년, 2018년에 새로이 개정된 진료 지침을 내놓는 등 지속적으로 만성 B형간염에 대한 진료 가이드라인을 제정 및 개정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각국의 의료 환경이 인종,지역, 제도, 경제 여건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국내 고유의 의료 여건과 자체 연구 결과를 반영한 가이드라인의.. Serologic responses to HBV infection Serologic responses to HBV infection 급성 B형 간염의 진단은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과 HBc에 대한 IgM antibody 검출에 근거합니다. HBsAg, HBsAb, anti-HBc IgM antibody (+/+/+) 대부분의 경우에 치료는 주로 supportive treatment입니다. 급성 HBV로부터 liver failure 가능성은 1% 미만이며 immunocompetent한 성인에서 만성 HBV 감염으로 진행할 가능성은 5% 미만입니다. 예후가 상대적으로 안 좋은 하위 그룹이 있는 데 1) immunocompromised 2) 동반된 C형 간염 3) 기존의 간질환 4) 고령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자들에서 항바이러스.. Percutaneous injury(예, needle stick) 이후에 HBV 감염의 위험도....어느 정도인가? HBV는 전염성이 높으며 전염 위험은 B 형 간염 표면 항원(HBsAg)과 B 형 간염 e 항원 (HBeAg)의 상태에 달려 있습니다. Percutaneous injury 후 HBV 감염의 혈청학적 증거가 발생할 위험은 원인 제공 환자가 HBsAg 양성 및 HBeAg 양성인 경우 37 %에서 62 % 사이이고 HBsAg 양성이지만 HBeAg 음성인 경우 23 %에서 37 %입니다. 노출 후 clinical hepatitis 발생 위험은 원인 제공 환자가 HBsAg 양성이고 HBeAg 양성인 경우 22 ~ 31 %이며, HBsAg 양성이지만 HBeAg 음성인 경우 1 ~ 6 %입니다. REF. UpToDate 2018.09.29 Coexistence of HBsAg and anti-HBs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은 HBV 감염의 serologic hallmark입니다. HBsAg은 HBV에 급성으로 노출된 후 1 ~ 10 주 후에 혈청에 나타나며 hepatitic symptoms이나 혈청 ALT가 상승하기 전에 나타납니다. 이후에 회복한 환자에서 HBsAg은 일반적으로 4-6 개월 후에 undetectable하게 됩니다. HBsAg의 6 개월 이상 지속성은 만성 감염을 의미합니다. 면역이 있는 성인 급성 B형 간염 환자의 5 % 미만에서 만성 감염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만성 HBV 감염 환자 중 HBsAg 제거율은 연간 약 0.5 %입니다. HBsAg의 소실 다음에 anti-HBs가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anti-HBs는 평생 동.. HBV genotypes 10 개의 유전자형이 확인되었고 A~J로 붙여졌습니다. HBV 유전자형의 유병률은 지역적으로 다양합니다. A~H 유전자형은 미국에서 확인되었고 유전자형 A, B, C가 가장 많습니다. HBV 유전자형은 HBV 관련 간 질환의 진행과 인터페론 치료 반응에서 중용한 역할을 합니다. 유전자형 A는 인터페론 치료로 의미 있게 높은 비율의 HBeAg과 HBsAg loss와 관련이 있습니다. 아시아 연구들을 통해 유전자형 B는 유전자 C형과 비교하여 이른 나이의 HBeAg seroconversion, HBeAg seroconversion 이후 더 지속적인 remission, less active hepatic necroinflammation, 간경화로의 더 느린 진행, 더 낮은 비율의 HCC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 HBV-DNA QUANTITATION HBV-DNA QUANTITATION 혈청 HBV DNA의 정량화는 CHB 환자의 평가와 항바이러스 치료의 효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HBV-DNA 분석법은 5 ~ 10 IU / mL의 민감도와 최대 7 log10 IU / mL dynamic range를 갖는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 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기술을 사용합니다. 일부 CHB 환자는 광범위하게 변동성이있는 HBV-DNA 수치를 갖으며, undetectable부터 200 만 IU / mL 이상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BV-DNA 수준의 연속적인 모니터링이 어느 한 시점의 cut-off 값보다 예후와 치료 필요성을 결정하는 데 더 중요합니다. Qu..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