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장내과

디오반필름코팅정 [Diovan Film Coated Tab.] 40mg, 80mg, 160mg ​ 디오반 (Diovan)은 발사르탄 (valsartan)의 미국 상품명이며 우리나라 상품명도 이와 같습니다. ​ 디오반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기 용량은 80-160 mg, 하루 1회입니다. 140/90 mmHg 전후라면 40 mg, 하루 1회를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 혈압에 따라 40-80 mg을 하루 2회 투약하며 내약성에 따라 하루 160 mg, 하루 2회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단백뇨 목표는 하루 1 g 미만입니다. 초기에 하루 20 ~ 40 mg, 2회로 시작하며 혈압 반응과 내약성에 근거하여 매 1-2주마다 용량을 2배씩 증량합니다. 최대 목표 용량은 하루 160 mg입니다. 20 mg, 하루 2회로 시작하고 ~ 160 mg, 하루 2회까지 증량합니다. ​ ​ 신기능에 따른 용량..
Complications of hypertension : CKD and ESRD ​ ​ Relation between hypertension and development of ESRD Cumulative incidence of end-stage renal disease (ESRD), due to any cause, according to blood pressure category in 332,544 men screened for the Multiple Risk Factor Intervention Trial (MRFIT) trial. The adjusted relative risk increased from 1.0 in those with optimal blood pressure (
Complications of hypertension [고혈압 합병증] ​ 고혈압은 심혈관과 신장 합병증의 의미 있는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다음 각각은 고혈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 ※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 Heart failure, both reduced ejection fraction (systolic) and preserved ejection fraction (diastolic) ※ Ischemic stroke ※ Intracerebral hemorrhage ※ Ischemic heart disease, including myocardial infarction and coronary interventions ※ Chronic kidney disease and end-stage renal disease ​ 정량적..
Chronic coronary syndrome [stable ischemic heart disease] : Medications ​ 의대생 때부터 stable angina에 대한 약물은 BANC, unstable angina는 BANC + heparin, MI는 BATMAN + help로 외웠습니다. ​ BANC : β-blocker, aspirin, nitrate, CCB BANC + heparin : β-blocker, aspirin, nitrate, CCB, heparin BATMAN + help : β-blocker, aspirin, thrombolytics, morphine, ACEI, nitrate, heparin ​ 이처럼 chronic coronary syndrome [stable ischemic heart disease]에서 사용하는 antianginal drugs로는 β-blocker, nitrate, CCB가 ..
Edema of calcium channel blockers - mechanism & treatment 칼슘통로차단제와 관련된 말초부종은 혈관에 간질로의 체액 이동 때문입니다. 이론적으로 칼슘통로차단제는 혈관을 확장시켜 혈관내 압력을 올리고 이로 인해 모세혈관으로서 투과성을 증가시킵니다. 이 부작용은 non-dihydropyridines계통보다는 dihydropyridine에서 더 흔하며 용량 의존적입니다. 저용량보다 고용량에서 부종 위험이 2-3배 더 높습니다. ​ 칼슘통로차단제로 인한 부종이 발생하면 임상의는 이뇨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루푸이뇨제를 처방할 수 있는데 약 개수를 늘리고 체액 증가가 없는 환자에서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칼슘통로차단제로 인한 부종은 체액 증가 때문이 아니므로 이뇨제 치료로 개선되지 않습니다. 반대로 RAS를 억제하는 약물, 즉 ACEI, ARB, dir..
Identifying pts for angiography and revascularization in chronic coronary syndrome (CCS) The patient’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of noninvasive testing are used to identify patients likely to benefit from coronary angiography followed by revascularization of appropriate les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coronary syndrome (CCS), also referred to as stable ischemic heart disease (SIHD), there are two primary indications for this: ​ ● Angina that significantly interferes..
이차성 고혈압의 몇 가지 원인들에 대한 임상 특징 Age less than 30 years with no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and no obesity → 2ndary HTN 평가 ​ 이차성 고혈압의 몇 가지 원인들에 대한 임상 특징 Disorder Suggestive clinical features General Severe or resistant hypertension An acute rise in blood pressure over a previously stable value Proven age of onset before puberty Age less than 30 years with no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and no obesity Renovascular disease ..
심실 빈맥, 치료 Sustained mono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SMVT), treatment ​ 혈역학적으로 stable하다는 것은 hemodynamic compromise 증거가 없는 것입니다. Sustained mono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SMVT)이지만 혈역학적으로 안정적인 경우 치료는 electrical cardioversion 또는 pharmacologic cardioversion입니다. 치료를 바로 해야 하는데 계속 안정적이 수도 있지만 빠르게 불안정해지거나 예고 없이 불안정해 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일반적으로 IV 항부정맥 약물을 선호하며 electrical cardioversion은 재발되거나 unstable한 환자에게 시행합니다. 만일 항부정맥 약물에 심실빈맥이 없어지지 않으면 electrical cardioversion을 시행하거나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