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drome 썸네일형 리스트형 우심실 심근경색, 생리식염수 정맥 주사가 필요한 경우 우심실 심근경색이라고 무조건 normal saline을 주사하는 것은 아니다! 우심실 심근경색, 생리식염수 정맥 주사가 필요한 경우우심실 심근경색에서 생리식염수 정맥 주사가 필요한 경우는 right ventricular preload를 증가시키기 위함입니다. 전공의 시험이나 의사국가고시에서 많이 물어 보는 부분입니다. 낮은 심박출량(low cardiac output, 저혈압, 저관류)의 증거가 있으며 & 낮거나 정상적인 경정맥압 (JVP)을 보이고 & 폐울혈이나 우심실 부전의 증거가 없는 환자에게는 정맥주사로 수액 (주로 등장성 식염수)을 투여해야 합니다. 이는 전부하 (preload)를 증가시켜 우심실에서의 전진 혈류 (flow out of the RV)를 개선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과도한 용적 투.. 비ST분절 상승-급성관상동맥증후군에서 혈관재개통, Revascularization in NSTE-ACS NSTE-ACS 환자들 중 심근경색을 시사하는 소견이 관찰되거나, 약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허혈/경색의 증상이 지속될 경우 심장 혈관 조영술과 재관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만일 PCI 치료가 불가한 의료 기관에 있을 경우, PCI 가 가능한 기관으로의 전원이 필요합니다.) 지속적인 심근 경색/허혈을 시사하는 소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불안정한 혈역학적 징후, 또는 부정맥 새로 발생한 심부전 새로 발생한 중증도의 좌심실박출률 저하 급성 승모판막 역류, 급성 심실벽 파열 등의 심장의 손상 적절한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휴식 시의 흉통, 또는 EKG 상 지속적인 ST 분절의 저하 만일 환자가 위의 소견들을 보이지 않을 경우, 재관류 시술의 시행 여부는 환자의 병력 및 급성 심근 경색의 위험.. 상기도 기침 증후군, Upper airway cough syndrome [해리슨 21st, UpToDate] Upper airway cough syndrome UpToDate 2022.11.27 Upper airway cough syndrome (UACS)을 이전에는 postnasal drip syndrome이라 불렀습니다. 그러나 기침과 관련된 모든 상기도 이상들을 포함한 UACS으로 개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알레르기성, 비알레르기성, vasomotor rhinitis, 급성 비인두염, 부비동염을 포함한 여러 원인들을 포함한 명칭입니다. 이러한 것들이 기침을 왜 일으키기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한 가지 가능성은 UACS이 cough hypersensitiviy 환자에서 기침에 대한 trigger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정리1) UACS의 이전 이름은 후비루 증후군 (PND, postnasal drip.. 상장간막동맥 증후군, 해부학, Anatomy of superior mesenteric artery syndrome 십이지장의 3번째 부위는 대동맥과 SMA 사이를 지나갑니다. 십이지장은 일반적으로 ligament of Treitz에 의해 부착되어 제3요추 높이에서 대동맥 앞쪽을 가로 지나 갑니다. SMA는 제1요추 부위에서 대동맥 앞쪽에서 기시하며 지방과 림프조직으로 둘어 쌓여 있고 장간막을 향해 급격한 각을 이루며 하방으로 내려 옵니다. SMA와 대동맥 사이의 정상 각은 38-65도이며 부분적으로 장간막 지방 때문입니다. 이 각은 BMI와 관련이 있습니다. 대동맥과 SMA까지 거리는 정상적으로 10-28 mm입니다. SMA 증후군에서 이 각은 6도까지, 대동맥과 SMA까지 거리는 2 mm까지 감소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십이지장 압박이 발생합니다. 좌측 신장 정맥 또한 압박되어 nutcracker syndrome을 .. 쿠싱증후군 증상과 징후, 증상의 중증도 쿠싱 증후군의 주된 증상과 징후는 다음 표와 같습니다. 좀 더 흔한 증상 덜 흔한 증상 Decreased libido Obesity/weight gain Plethora Round face Menstrual changes Hirsutism Hypertension Ecchymoses Lethargy, depression Dorsal fat pad Abnormal glucose tolerance ECG abnormalities or atherosclerosis Striae Edema Proximal muscle weakness Osteopenia or fracture Headache Backache Recurrent infections Abdominal pain Acne Female balding 성인에.. 쿠싱증후군 치료, 한 쪽 부신이 원인인 경우 쿠싱증후군으로 원인으로서 한 쪽 부신에 종양이 있는 환자가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쿠싱 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들로는 여러가지가 있고 그 중에 부신이 원인인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환자에서 부신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부신 종양이 있는 경우에는 unilateral adrenalectomy로 제거해야 하며 blilateral micronodular와 대부분의 macronodular adrenal hyperplasia 환자에서 bilateral adrenalectomy를 시행합니다. 부신 종양은 항상 unilateral adrenalectomy로 완치됩니다. Open laparotomy와 비교하여 수술 후 morbidity, 입원 기간, 비용 때문에 경험이 많은 의사에 의한 lap.. 길버트증후군 내원 증상, 간헐적인 가벼운 황달, Gilbert syndrome, episodes of mild intermittent jaundice 20대, 남자 Jaundice로 내원하였습니다. 신체진찰에서는 황달이 있어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 환자는 이전 혈액검사에서 총빌리루민 1.7 정도의 경한 빌리루빈 증가가 있었고, 복부 초음파와 복부 CT에서 작은 혈관종이 확인되었습니다. 다른 소견은 정상이었으므로 길버트 증후군으로 여겨집니다. 이렇게 길버트 증후군은 경한 간헐적 황달 증상으로 내원을 많이 합니다. Patients with Gilbert syndrome typically present with episodes of mild intermittent jaundice due to predominantly un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Patients are asymptomatic between episodes. Sy.. Management of STEMI or NSTEACS STEMI 또는 NSTEMI에서 아스피린 이외에 추가하는 항혈소판약제는 ticagrelor loading dose 180 mg입니다. CAG/PCI 후에는 prasugrel 60 mg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혈 경향을 보이는 경우와 STEMI에서 fibinolytic Tx를 하는 경우는 clopidogrel을 사용하고, prior stroke or TIA, 75세 이상, weight < 60 kg의 경우는 prasugrel 금기 (절대적, 상대적)입니다. Acute management STEMI: Give oral antiplatelet therapy (in addition to aspirin) to all patients: 1. Patients treated with fibrinolytic the.. 이전 1 2 3 4 ··· 6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