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뇨 썸네일형 리스트형 다파글리플로진 [포시가], 만성콩팥병증에서 사용 Chronic kidney disease (adjunctive agent): Dapagliflozin [Forxiga] 1차 약제로 치료 중임에도 지속적으로 알부민뇨 (urine albumin-to-creatinine ratio 200 to 5,000 mg/g)가 있는 환자에서 2차 약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득은 당뇨병 유무와 관련 없이 지속적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당뇨병성 콩팥병증으로 단백뇨가 있는 환자에서 ARB 또는 ACEI를 사용합니다. 이것에 더하여 SGLT2 억제제 치료를 제안합니다. 당뇨병이 있고 DKD (diabetic kidney disease)가 있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SGLT2 억제제 치료 효과는 분명합니다. eGFR이 최종적으로 25 미만으로 떨어지는 환자들에서.. SGLT2 억제제, 다파글리플로진 [Dapagliflozn] - 포시가 [Foxiga] 다파글리플로진, Dapagliflozin [포시가, Foxiga] 다파글리플로진 [포시가, Foxiga]를 사용하기 전에 저혈량증이 있다면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교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만일 인슐린 또는 인슐린 분비 촉진제인 설포닐유레아, 메글리티나이드를 사용 중이라면 저혈당을 피하기 위해 이 약제를들 감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다파글리플로진, Dapagliflozin [포시가, Foxiga] 1차 치료제라고 표현한 것은 메트포민에 앞서서 1차로 쓰라는 뜻은 아닙니다. 포시가는 생활습관 개선과 메트포민 사용에도 불구하고 치료에 실패한 환자 또는 메트포민을 복용할 수 없는 환자에서 추가 약제로서 또는 변경 약제로서 선택될 수 있습니다. ASCVD, 심부전, 당뇨병성 콩팥병증이 있는 환자에서 심혈관.. 다발성 골수종에서 벤스-존스 단백뇨, Bence Jones proteinuria in multiple myeloma Bence Jones proteinuria는 다발성 골수종에서 소변으로 배출되는 urinary M protein을 나타냅니다. 이 단백질은 urine dipstick test에서 검출되지 않으므로 (urine dipstick test는 알부민만 검출합니다) 다음 문제처럼 dipstick protein (1+)이지만 24시간 단백뇨 검사를 하면 그 양이 상당히 많아 불일치를 이룹니다. Urine dipstick test에서 1+는 30 mg/dL 농도, 하루 0.5 g/day 미만의 알부민뇨를 의미합니다. 또 정상에서 알부민이 글로블린보다 약간 더 많기 때문에 정상 A/G ratio는 1보다 약간 넘습니다. 그러나 A/G ratio가 1보다 작은 경우가 있습니다 (높은 total protein이라고 생.. Heavy proteinuria 원인(Isolated 또는 nephritic type과 동반) ㉮Heavy proteinuria, ㉯hypoalbuminemia, ㉰peripheral edema는 nephrotic syndrome의 특징(㉮㉯㉰)이며 hyperlipidemia와 thrombotic disease는 빈번하게 관찰되는 소견입니다. 혈뇨가 없으면서 nephrotic syndrome을 나타내는 질환으로는 minimal change disease,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membranous nephropathy가 있습니다. Postinfectious glomerulonephritis,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Ig A nephropathy에서도 nerphrotic syndrome이 생길 수 있으나.. Most adult cases of persistent isolated hematuria due to glomerular disease 현미경적 혈뇨이면서 급성 신손상이 있거나 사구체 출혈을 시사하는 환자는 신장내과로 의뢰되어야 합니다. 사구체 출혈을 시사하는 소견이 없고 암 위험인자가 없고 비뇨 질환의 병력이 없는 비임신 환자는 영상검사 또는 방광경 검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수 년 동안 지속적이고 설명되지 않는 현미경적 혈뇨 환자에서는 신장내과 평가와 영상 검사가 적합할 수 있습니다. Glomerular hematuria는 종종 단백뇨, 부종, 고혈압, GFR 감소와 같은 이상들을 포함하지만, 오직 지속적인 현미경적 혈뇨만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Isolated hematuria라는 뜻은 정상 알부민 배설, 정상 혈청 크레아티닌, 정상 혈압이면서 무증상인 환자에서 발생하는 혈뇨입니다. Isolated라면 지속적(persist.. 횡문근융해증과 단백뇨, Rhabdomyolysis and proteinuria 횡문근 융해증에 대해서는 이전 블로그에서 많이 언급하였습니다. 오늘 key message는 횡문근융해증에서 단백뇨가 보일 수 있는데, 이것은 신장이 손상되어 그런 것이 아니라 손상된 myocytes에서 분비되는 myoglobin과 다른 단백질들 때문에 그럴 수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크게 중요하려나? 20대/남자 소변이 붉다. 최근에 운동을 심하게 하였다. 소변 : 잠혈 3+ 양성이지만 RBC 0-2개/HPF AST/ALT 1338/323, CPK > 15000, LDH 6530, 마이오글로빈 3000 Dx Rhabdomyolysis Hyperthyroidism (요단백 2+, 백혈구 trace는 rhabdomyolysis 초기에 손상된 myocytes에서 나오는 myoglobin과 다른 세포 .. 신증후군이 없는 단백뇨, Proteinuria without nephrotic syndrome 신증후군이 없는 단백뇨 (Proteinuria without nephrotic syndrome) Glomerular proteinuria는 전신 질환, 고혈압, 혈뇨, 요독증이 없는 경우 발생하는 단백뇨입니다. Proteinuria without nephrotic syndrome에 대한 평가는 단백뇨가 isolated인지 여부, 즉 전신 질환, 고혈압, 혈뇨, 요독증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Glomerular proteinuria without nephrotic syndrome can range in severity from several hundred mg per day to the nephrotic range (ie, more than 3000 to 3500 mg per day). Such pat.. 미량알부민 검사의 급여기준 (2018.06.01) 누300 미량알부민 검사는 다음에 해당되는 환자로서 누225 요 일반검사[화학반응-육안검사/화학반응-장비측정]에서 요단백이 검출되지 아니하여 실시한 경우에 인정함. - 다 음 - 가. 당뇨병성 신증이 의심되는 당뇨병환자 나. 심혈관계 합병 위험인자(비만, 당뇨, 고지혈증, 뇌졸중 등)가 있는 고혈압환자 (2018.6.1. 시행) ☞ 개정 사유: 고시제목 자구 수정, 검체검사 행위분류 개편 관련 문구(분류명) 반영 -------------------------------------------------------------------------------------------------------------------- ■ 변경 전 고시(고시 제2017-265호, 2018.1.1. 시행) 누300 미량알부..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