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화기내과(간)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XVII 특정 상황에서의 치료 ④ 면역 억제제 또는 항암화학요법 치료 환자 면역 억제제 또는 항암화학요법 치료 환자만성 B형간염의 경과는 바이러스와 숙주 면역능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면역 억제 치료 혹은 항암화학요법 등에 의하여 면역능이 저해될 경우재활성화(reactivation)의 위험이 증가한다.​(1) 만성 B형간염의 재활성화B형간염의 재활성화는 일반적으로 만성 B형간염 비활동기 혹은 과거 감염 후 회복된 상태의 환자에서 활동성의 괴사염증성 질환이 다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고, HBsAg 양성인 경우의 만성 B형간염의 악화(exacerbation of chronic HBV infection)와 HBsAg 음성이면서 anti-HBc 양성인 경우인 과거 B형간염의 재발(relapse of past HBV infection) 두 가지 상황으로 나눌 수 있다. 후자..
낭포성 섬유증과 일차성 담즙성 간경화증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우루사), Urosodeocycholic acid(UDCA) in CF and PBC Hepatotonics 종류1. 레갈론(Legalon)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834892. 우루사(Urosodeocycholic acid, UDCA)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944533.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펜넬)4. 헤파멜즈(Hepa-merz)5. 고덱스(Godex) 이전 블로그 내용은 담석증에서 우루사(Urosodeocycholic acid)의 기전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944531. CF-related liver disease (CFLD)에서 UDCA에 대한 설명 중에서...UDCA(우루사, 우르소..
우르소데옥시콜산(우루사) 작용 기전 , Ursodeoxycholic acid(UDCA), mechanism of action Hepatotonics 종류1. 레갈론(Legalon)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834892. 우루사(Urosodeocycholic acid, UDACA)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834893.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펜넬)4. 헤파멜즈(Hepa-merz)5. 고덱스(Godex)이전 블로그1. Chenodeoxycholic acid와 ursodeoxycholic acid(UDCA)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834892. 밀크티슬/실리마린/레가론, Milk thistle/silymarin/legalon https://blog.naver.c..
밀크티슬/실리마린/레가론, Milk thistle/silymarin/legalon Silymarin (silybum marianum)은 milk thistle의 천연 성분으로 실험적 간 손상에서 유망한 항섬유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만성 간질환 환자, 특히 HCV 환자의 비처방 약제로 널리 사용됩니다. 그것의 구조에 기초하여, silymarin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화합물의 그룹에 속하며, 이 그룹 중 다른 성분은 quercetin, baicalin, baicalein입니다. 이러한 플라보노이드는 항섬유화 특성 때문에 점점 더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Silymarin은 항산화제로서 작용하며 세포 보호 및 Kupffer 세포 기능의 억제를 통해 간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관련 화합물인 silibinin은 또한 배양된 stellate cells에서 항섬유 특성이 있습니다..
간장용제 급여 일반원칙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6-66호삼일제약 리비디 팜플렛에서 발췌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XVII 특정 상황에서의 치료 ③ 급성 B형간염 환자 급성 B형간염 환자​성인에서 B형간염은 95% 이상에서 급성 감염 후 항바이러스제 투여 없이도 자연적으로 회복되어 만성적으로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일부 급성 B형간염 환자에서는 장기적으로 심각한 간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심각한 급성 B형간염은 혈액응고장애(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 >1.5), 심한 황달 혹은 간부전으로의 진행 소견이 있는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급성 B형간염에서 항바이러스 치료가 필요한지에 대하여 과거에는 오히려 발병 초기에 인위적인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인체의 면역반응을 방해하여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중화항체 생성을 저해하여 만성화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최근 급성 B형간염에서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행..
혈청 빌리루빈과 간 기능부전 중증도와의 관계, Indication of the severity of hepatic dysfunction 총 혈청 빌리루빈은 간 기능부전의 민감한 지표는 아닙니다. 혈청 빌리루빈의 농도는 중등도 ~ 중증의 간 실질 손상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폐쇄된 담관에도 불구하고 정상일 수 있습니다.​이러한 민감도 부족은 빌리루빈을 제거하기 위한 사람 간의 reserve capacity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명 될 수 있습니다. Unconjugated bilirubin빈을 주입한 건강한 사람들에 대한 연구와 용혈 환자에서의 관찰 결과에 따르면, 정상 간은 고 빌리루빈 혈증의 발병없이 정상 일일 빌리루빈 부하의 적어도 두 배를 제거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Reserve capaity는 담즙 내 빌리루빈의 최대 배설률에 따라 훨씬 더 높을 수 있습니다. 빌리루빈의 최대 일일 배설량은 하루 평균 생산량의 10 배..
혈청 빌리루빈 농도의 중요성(의미), Significance of the serum bilirubin concentration 혈청 빌리루빈 농도의 중요성 (의미)​ 혈청 총 빌리루빈 농도는 황달의 여러 원인들 사이의 값이 상당히 겹치기 때문에 개별 환자에서 황달의 원인을 명시하는 데 거의 가치가 없습니다. ​일반적인 규칙 :1. 단순한 용혈은 5 mg / dL을 초과하는 혈청 빌리루빈 값을 거의 유발하지 않습니다 .​2. Parenchymal liver disease과 calculi에 의한 incomplete extrahepatic biliary obstruction는 담관의 악성 폐쇄보다 혈청 빌리루빈 농도가 낮습니다.​3. 질병 예후를 결정하기 위한 혈청 빌리루빈의 수치와 기간의 유용성을 평가한 연구는 거의 없지만 몇 가지 일반적인 관계가 적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바이러스 간염에서 혈청 빌리루빈 농도가 높을수록 간세포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