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변은 혈액과 영상 검사 소견으로 진단될 수 있습니다. 물론 생검이 가장 정확하지만, 혈청 및 영상 검사에 의한 진단은 더 저렴하고, 안전하며, 장기 추적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간경변 환자에서 정맥류는 매년 5~15%의 빈도로 발생하며, 그 중 ⅓ 에서 출혈이 발생합니다. 이는 간경변 환자에서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며, 간경변에 흔히 동반되는 혈소판 및 응고인자의 감소는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정맥류는 주로 간의 섬유화에 의한 문맥 고혈압 (portal hypertension)으로 인해 발생하며, 임상적으로 유의한 문맥 고혈압 (CSPH: Clinically significant portal hypertension)은 간정맥과 문맥압의 차이, 즉 HVPG (Hepatic venous portal gradient) 가 10mmHg 이상인 경우로 정의합니다 (정상 범위는 5mmHg 이내입니다)
모든 정맥류 환자들에게서는 CSPH 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때 간문맥 대신 Lt. gastric vein (관상 정맥), short gastric vein 등으로 곁순환이 발달하게 됩니다. 이 상황의 만성화로 위식도 정맥류가 형성되며, 복수, 간경변 및 문맥 고혈압의 중증도, 정맥류의 위치 및 크기 등 위험 인자에 따라 출혈 위험이 달라집니다.
간경변에 의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의 경우 2~3년마다 내시경 검사를 통한 정맥류 스크리닝이 권고되며, 합병증이 발생한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의 경우 1~2년 간격으로 검사를 받을 것이 권고됩니다.
식도 정맥류 출혈이 발생할 경우, 절반 정도의 환자에서 자연적으로 지혈 작용이 발생하지만 재출혈도 흔히 발생합니다. 그러나, 다음의 경우 출혈이 멎지 않고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Child-Pugh Class C 간경변
- 내시경 시술에서 현성 출혈이 관찰되는 경우
- HVPG 가 20mmHg 이상인 경우 (즉, 문맥 고혈압이 심한 경우)
- 정맥류 출혈에 대한 내시경적 결찰술 또는 경화술로 사망률 및 재출혈의 빈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치료 방침에도 불구하고 정맥류 출혈의 사망률은 높은 편이며, 6주 내 사망률은 10~20% 정도로 보고됩니다.
- 급성 출혈이 있는 환자에 대해서는 혈역학적 징후의 관리 및 기도 확보입니다. 또한, 간경변 환자의 경우에는 Fluoroquinolone 또는 3세대 cephalosporin 과 같은 항생제도 필요합니다.
- Acute bleeding episode (급성 출혈) : 이는 병원 내원 시점에서 5일 (120시간) 이내에 발생한 출혈을 지칭합니다.
급성기 관리 후, 지혈을 위한 약물적 치료가 우선시되어야 합니다.
- 주로 선택되는 약물은 terlipressin 또는 octreotide 이며, 투여 기간은 출혈이 멈춘 후 2~5일까지 입니다.
- 약물의 투여는 상부 위장관 출혈이 있는 환자 중 정맥류가 있거나, 정맥류 존재의 위험이 있는 환자 (e.g. 간경변 환자)에 대해 모두 시행되어야 하며, 이는 내시경을 통한 정맥류 출혈의 확진을 위해 지연되어서는 안됩니다.
- Terlipressin 은 vasopressin 유사체이며, 정맥류 출혈에 의한 사망률 감소 효과가 입증된 유일한 약제입니다.
- Octreotide 는 Somatostatin 유사체이며, 혈관 확장 호르몬의 분비를 막아 문맥 혈류를 줄이는 효과를 가집니다 → 이 약물들은 투여 후 수 초 내에 문맥 혈류, 문맥압, 그리고 정맥류 내 압력을 낮춤으로써 출혈을 멈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식도 정맥류 환자들의 지혈을 위해서는 주로 내시경을 통한 정맥류 결찰술(EVL: Endoscopic variceal ligation)이 이루어지며, 일부에 대해서는 내시경적 경화술 (endoscopic sclerotherapy)가 선택되기도 합니다.
- 내시경적 시술은 환자의 혈역학적 안정을 달성하고 (fluid resuscitation), 내원 12시간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하지만 내시경적으로도 출혈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TIPS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또는 수술적 단락술 (surgical shunt) 등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위정맥류 출혈이 발생할 경우에는 cyanoacrylate 라는 경화제를 투여하는 것이 1차 선택지입니다. 이것이 불가할 경우에는 TIPS 시술이 선택되거나, 일시적인 지혈을 위해 Balloon tamponade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Balloon tamponade 의 경우 식도 천공을 포함한 심한 부작용의 위험이 있으며, de-ballooning 후에는 재출혈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
일반적으로 위정맥류 출혈의 처치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릅니다;
- Vasoactive medication (terlipressin, octreotide, somatostatin 등)의 투여 → Balloon-tamponade를 이용한 일시적인 기계적 지혈 → Cyanoacrylate injection 또는 TIPS, 또는 수술
- Fundus를 침범한 정맥류의 경우 cyanoacrylate 를 이용한 내시경적 정맥류 폐쇄술 (EVO: Endoscopic variceal obliteration); fundus 를 침범하지 않는 (lesser curvature 쪽의) 출혈은 EVO 또는 EVL 간 선택이 가능합니다.
REF)
UpToDate 2023: Methods to achieve hemostasis in patients with acute variceal hemorrhage
JAMA 2023: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irrhosis and Its Complications; A Review (Elliot B. et al.)
'소화기내과(간) > 간경변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경변증에서 복수의 치료 (0) | 2024.02.25 |
---|---|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치료 (항생제), Harrison's Internal Medicine 21th (0) | 2022.11.27 |
이차성 세균성 복막염, Harrison's Internal Medicine, 21st (0) | 2022.11.27 |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정의와 이차성 세균성 복막염과의 감별 (0) | 2022.11.27 |
식도정맥류 초출혈과 재출혈 예방 (0) | 2020.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