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uideLine

심부전의 치료 [1] [2022 심부전 진료지침] 권고 종류 1 해야 한다. 권고한다 > 2a 타당하다. 도움이 될 수 있다 > 2b 고려할 수 있다 > 3 추천되지 않는다 ​ 가이드라인을 읽을 때 의식하면서 보는 부분인데 이번 2022 심부전 진료지침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 한글 표현에 해당하는 영어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hould be. be indicated. be recommended. be usful. be effective. be beneficial​ > 2a reasonable. can be useful. ​can be effective. can be benefical be probably recommeded/indicated > 2c may be reasonable. may be considerd. usefullnes..
대동맥판막 역류증, 수술 적응증 AR의 수술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LVEF과 관계없이 증상이 있는 severe AR (Stage D) (indicated) ​ ㉯ 증상이 없는 chronic severe AR의 경우 LVEF ≤55% (Stage C2) (indicated) ​ ㉰ Severe AR (stage C 또는 D)이면서 다른 이유로 심장 수술을 하는 경우 (indicated) ​ ㉱ 증상이 없는 chronic severe AR, LVEF >55% 환자에서 LV가 심하게 확장된 경우 (LVESD >50 mm 또는 indexed LVESD >25 mm/m2) (Stage C2) (resonable) ​ ㉲ Moderate AR (stage B)인 환자에서 다른 이유로 심장 수술을 하는 경우(resonable) ​ ㉲ 무증..
[Gastroenterology] Posttreatment surveillance for resected colon and rectal cancer 조기 대장암 치료 후 CT와 대장내시경 간격은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으나 가이드라인마다 다르고 임상의마다 환자 상태에 따라 다르게 결정합니다. ​ 1. CT는 첫 3년 동안은 6개월마다 이후 2년 동안은 1년마다 2. 대장내시경은 1년 후에 시행하고 정상이면 이후 3년마다 ​ Summary of professional guidelines regarding posttreatment surveillance for resected colon and rectal cancer Organization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CEA testing CT scanning Endoscopic surveillance Comments ASCO[1] and CCO[2] Every 3 to 6 ..
성인과 소아에서 맥박이 있는 서맥, Adult and pediatric bradycardia with pulse 성인 서맥에서 first line drug는 에트로핀입니다. 에트로핀에 반응하지 않는 불안정 환자에서는 transcutaneous pacing을 시작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약물이나 transcutaneous pacing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transvenous pacing이 필요합니다. 도파민 infusion과 에피네프린 infusion은 에트로핀이 적절하지 않거나 에트로핀에 반응이 없는 경우 사용될 수 있고 특히 혈압 저하가 있는 경우에 그러합니다. ​ 소아에서는 에피네프린 IV(또는 IO: endotracheal access는 IV/IO가 불가능할 때)를 시행합니다. 서맥이 증가된 vagal tone 때문이거나 primary AV conduction block (ie, not secondary to..
만성 B형간염 치료의 최신 지견: 2018 대한간학회 진료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대한내과학회지: 제 94 권 제 3 호 2019] 서 론 B형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3억 5천만 명의 만성 감염자가 있고 매년 60만 명 이상이 관련 질환으로 사망하는 중요한 질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에는 B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 감염률이 8-10%의 높은 수준으로 국민 보건의 중요한 질환으로 인식되어 1991년 신생아 예방 접종 사업, 1995년 국가 예방접종 사업, 2002년 주산기 감염 예방사업이 시작되면서 HBV 감염률은 점차 감소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8년 이후에는 꾸준히 3.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만성 간염 및 간경변증 환자의 약 70%, 간세포암종 환자의 약 65-75%에서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이 검출되는 점을 고려하면, 아직..
무증상 복부 대동맥류 환자 영상 검사, Imaging asymptomatic patients with abdominal aortic aneurysm(AAA) 무증상 복부 대동맥류 환자 영상 검사 Imaging asymptomatic patients with abdominal aortic aneurysm(AAA) ​ 위험 인자, 복부 촉진, AAA를 시사하는 이전 영상 검사에 근거하여 abdominal aortic aneurysm(AAA)의 진단이 의심되는 무증상 환자에서는 복부 초음파가 초기 진단 검사로서 권고됩니다. 초음파는 비침습적이며 비싸지 않으며(다른 검사에 비해) AAA 진단의 민감도는 98 %, 특이도는 99 %입니다. 전향 적 연구에서 초음파는 AAA의 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에서 작은 동맥류 (
2018 고혈압 진료지침 3. 고혈압의 치료 8. 고혈압의 치료 고혈압 치료의 목표는 혈압을 조절하여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하고 사망률을 낮추는 것이다. 심뇌혈관질환이 이미 발생한 환자에서는 혈압을 조절하여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고 재발을 막음으로써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이 높은 환자일수록 혈압 치료에 따른 이득이 크다. 대부분의 고혈압 임상연구 결과 수축기혈압을 10~20 mmHg 정도, 이완기혈압을 5~10 mmHg 정도 낮추면 뇌졸중은 30~40%, 허혈성 심장질환은 15~20% 정도 감소한다. 대부분의 임상연구가 단기간 수행되었기 때문에, 5년 이상 장기간 고혈압을 치료할 때의 이득은 임상연구에서 관찰된 치료 효과보다 더 클 것으로 생각된다. 고혈압 치료에 따른 이득은 성별이나 연령에 상관없고..
2018 고혈압 진료지침 2. 고혈압의 임상평가 제 II 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 6. 혈압 측정 고혈압의 진단, 치료, 예후 평가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정확한 혈압 측정이다. 혈압은 측정 환경, 측정 부위, 임상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여러 번 측정해야 하며 표준적인 방법으로 측정해야 한다. 40세 이상, 비만, 고혈압 가족력, 고혈압전단계인 경우는 매년 진료실혈압을 측정하여 고혈압 발생여부를 점검하여야 한다. ​ 6.1. 진료실혈압 측정 진료실에서 청진기를 사용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청진법이 현재 표준적인 측정 방법이다. 진료실혈압 측정에 사용하는 혈압계는 수은주혈압계, 보정된 아네로이드 혈압계, 정확성이 검증된 전자혈압계가 있다. 전자혈압계는 종류별로 청진법 또는 진동법 기기가 있으며 수은의 유해성 문제로 수은주혈압계는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