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폐결핵

의료기관 종사자 결핵 및 잠복결핵 검진 의원은 3군에 해당되고 잠복결핵 양성 시 치료 권고 (치료 실시, 치료 강력 권고보다 약한 단계) ​
잠복결핵감염 진단 (IGRA)에서 사용하는 항원 (antigens) ​ 양성 IGRA 검사는 한 개 이상의 항원을 검출합니다. M. tuberculosis 특이 항원으로는 EAST-6와 CFP-10이 있습니다. 이것에 대한 언급은 https://blog.naver.com/sjloveu2/222314905414 에서 언급한 바 있습니다. 잠복결핵감염 진단을 위한 이그라 (IGRA) 검사는 세포면역반응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IGRA (이그라) 검사의 일반적인 원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흔히 Quantiferon assay라고 하는 것은 I... blog.naver.com ​ 이 항원은 M. tuberculosis genome의 region of difference 1 (RD1) segment 안에 위치한 유전자에 의해 코딩됩니다. 이 항원은 PPD 검사보다 M. tuberc..
잠복결핵감염 진단을 위한 이그라 (IGRA) 검사는 세포면역반응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 IGRA (이그라) 검사의 일반적인 원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흔히 Quantiferon assay라고 하는 것은 IGRA 검사의 한 유형에 해당하며 IGRA = Quntiferon assay는 아닙니다. ​ * IGRA 검사의 한 유형에 해당하는 것이 Quantiferon assay입니다. ​ 혈액을 채취하여 세포면역반응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가 IGRA입니다. 즉, Mycobacterium tuberculosis와 몇 가지 다른 mycobacteria의 유일한 항원 자극 이후 인터페론 감마의 T세포 분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 IGRA는 M. tuberculosis의 surrogate marker이며 M. tuberculosis에 의해 분비된 M. tuberculosis 단백질 항원에 대한 세포면역..
[문정동 내과] 장결핵 → 폐결핵 진단 2014년 내용 블로그 수정 ​ 50대/남자 ​ 건강검진 목적으로 시행한 대장내시경에서 장결핵 (Intestinal Tbc)이 의심되어 내원하였습니다. 대장내시경 소견 : Tbc scar, psuedopolyp ​ 검진 목적으로 대장내시경과 함께 흉부 엑스레이와 흉부 CT를 촬영한 상태였으며 검진 판독 소견으로는 우상엽의 섬유성 병변과 석회화 있음. 치유된 결핵의 흔적으로 추정됨, 단순 촬영으로 정기 검사 필요함으로 되어 있었으나 흉부 CT는 치유된 결핵의 흔적이라기 보다는 활동성 결핵으로 보였습니다. Multiple centrilobular nodules and irregular consolidation around right upper lobar bronchus, accompanying luminal..
재활성 폐결핵, Reactivation tuberculosis, 송파구 내과 수많은 용어들이 재활성 폐결핵 (reactivation TB)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습니다. Chronic TB Postprimary disease Recrudescent TB Endogenous reinfection Adult-type progressive TB. 재활성 폐결핵 (reactivation TB)는 HIV 비감염자 성인 사례의 90%를 차지하며 일차 감염 당시에 억제된 이전 마이코박테리아 병소의 재활성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상엽의 apical posterior segments 또는 하엽의 superior segment가 빈번하게 관련됩니다. 이것에 대한 이유는 불명확하지만 apices에는 상대적으로 림프 흐름이 좋지 않아 세균 제거를 하지 못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
폐결핵 증상 ② 일차 결핵 폐결핵 증상 ① 자연경과 : https://blog.naver.com/sjloveu2/222196623058 ​폐결핵 일차 감염 이후, 면역이 온전한 환자의 90%는 결핵균 (bacilli)의 추가 복제를 통제하며 제거되거... blog.naver.com 일차 결핵 (primary tuberculosis)은 새로운 결핵 감염 또는 이전에 naive host에서 활동적 질환이 있는 것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일차 결핵은 1950년대 이소니아지드로 인한 효과적인 화학치료가 도입되기 전까지 소아의 주된 질환이었습니다. 이때 이후부터 많은 연구들은 청소년과 성인에서 결핵 획득 빈도가 증가했음을 보여 주었습니다. ​ ​ 무증상 일차감염자는 결핵 질환을 시사하는 증상과 징후가 없습니다. 새로운 결핵 감염 위험이 있..
폐결핵 증상 ① 자연경과 ​ 폐결핵 일차 감염 이후, 면역이 온전한 환자의 90%는 결핵균 (bacilli)의 추가 복제를 통제하며 제거되거나 latent phase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 사람은 여전히 무증상입니다. 그러나 latent disease는 어느 때라도 활동적으로 되는 잠재성이 있습니다. ​ Latent TB 사람들은 재활성화할 수 있는 균을 가지고 있으며 증상이 있는 질환으로 진행합니다. 전세계 약 20-30억 사람들은 M. tuberculosis에 latent 감염된 상태이며 이 사람들 중의 5-15%는 인생 동안 결핵의 재활성화를 경험합니다. HIV 감염, 장기 이식, 규폐증, TNF-알파 억제제, 밀접 접촉, 신장 투석은 결핵 재활성화 위험을 의미 있게 증가시켰습니다. ​ 남은 10%는 결핵 폐렴을 나타내..
결핵 진료지침 2020 [V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과 결핵] 결핵 진료지침 2020 [IV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 결핵은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감염인에서 발생하는 주요한 기회감염 질환 중의 하나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HIV 감염인의 기회감염질환 중 11-25%를 차지한다. 우리나라에서 HIV와 결핵의 동시 감염률은 2005년 인구 100,000명당 0.095였고,4 1998-2010년 사이에 조사한 HIV 감염인에서 결핵발생률은 100 환자-년(patient-year) 당 1.19였는데,5 효과적인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antiretroviral therapy, ART)로 인하여 발생률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HIV 감염인에서 결핵 발생은 CD4 림프구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면역상태가 낮을수록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