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부전(HFrEF)의 이해와 치료 전략 심부전(Heart failure)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임상적 증후군입니다. 특히 좌심실 박출률이 40% 이하로 감소한 경우를 좌심실 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이라고 합니다. 초기에는 디곡신과 이뇨제를 활용한 치료가 주로 이루어졌으나, 이후 심부전의 병태생리에 대한 연구가 발전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약물 요법이 개발되었습니다. 현재 HFrEF 치료의 핵심은 가이드라인 기반 약물 치료(GDMT, Guideline-Directed Medical Therapy)로, 네 가지 주요 약물군이 포함됩니다.HFrEF 치료의 핵심 약물군베타 차단제(Beta Blockers, BB)미..
2019 대한간학회 간경변증 진료 가이드라인 [위·식도정맥류] ① 위·식도정맥류는 간경변증 환자의 흔한 합병증으로, 정맥류 확인을 위해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간경변증 환자의 52% 정도에서 관찰되며, Child-Pugh A등급 환자에 비하여 Child-Pugh B/C등급 환자에서 더 흔하게 동반된다(35-43% vs. 48-72%). 간경변증에서 흔히 동반되는 문맥압항진증이 위·식도정맥류 발생의 주된 인자로 알려져 있다. 간경변증에서 간내 혈관저항이 증가하고 문맥압항진증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과역동적 순환(hyperdynamic circulation)에 의하여 더욱 악화된다. 문맥압항진증이 점차 진행하여 어느 정도의 한계를 지나게 되면 전신순환계와 문맥순환계가 만나는 부분에 우회혈관들(collateral vessels)이 발생하는데 위·식도정맥류는 바로 이러한 우회혈관..
빌리루빈 농도와 황달과의 관계, Correlation of bilirubin concentration with jaundice 안정적 상태에서 혈청 빌리루빈 농도는 보통 황달의 정도와 신체의 빌리루빈 색소 양을 반영합니다.​그러나 몇몇 요인들이 혈청 빌리루빈과 총 신체 빌리루빈 양 사이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혈청 빌리루빈 농도는 salicylates, sulfonamides, free fatty acids에 의해 일시적으로 낮을 수 있는데, 이것은 빌리루빈의 알부민으로의 결합을 방해하여 색소의 조직 내 이동을 증가시킵니다. 대조적으로 혈청 알부민 농도 증가(예, volume contraction) 증가는 조직에서 순환계로의 일시적인 빌리루빈 이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REF. UpToDate 2019.03.07
What constitutes a liver blood test? ① 빌리루빈 What constitutes a liver blood test? ① 빌리루빈 빌리루빈은 주로 reticuloendothelial system에 의해서 헤모글로빈의 구성 요소인 헴이 분해된 부산물입니다. 이것은 2가지 형태로 존재하는데 unconjugated와 conjugated입니다. 빌리루빈은 비수용성인 unconjugated form으로 간으로 이동하고, 이곳에서 수용성인 conjugated bilirubin으로 변환되며 배설됩니다. Unconjugated hyperbilirubinaemia는 보통 haemolysis 또는 impaired conjugation 때문이며, 반면에 conjugated hyperbilirubinaemia는 parenchymal liver disease 또는 obstru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