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정적 상태에서 혈청 빌리루빈 농도는 보통 황달의 정도와 신체의 빌리루빈 색소 양을 반영합니다.
그러나 몇몇 요인들이 혈청 빌리루빈과 총 신체 빌리루빈 양 사이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혈청 빌리루빈 농도는 salicylates, sulfonamides, free fatty acids에 의해 일시적으로 낮을 수 있는데, 이것은 빌리루빈의 알부민으로의 결합을 방해하여 색소의 조직 내 이동을 증가시킵니다. 대조적으로 혈청 알부민 농도 증가(예, volume contraction) 증가는 조직에서 순환계로의 일시적인 빌리루빈 이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REF. UpToDate 2019.03.07
728x90
반응형
'소화기내과(간) > 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장용제 급여 일반원칙 (0) | 2019.03.09 |
---|---|
혈청 빌리루빈과 간 기능부전 중증도와의 관계, Indication of the severity of hepatic dysfunction (0) | 2019.03.08 |
유로빌리노겐(젠), Urobilinogen (1) | 2019.03.05 |
소변의 빌리루빈, Urine bilirubin, bilirubinuria (4) | 2019.03.05 |
Wernicke encephalopathy, 진단과 치료 (0) | 2018.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