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장내과/심부전

KSHF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Heart Failure: Part II. Treatment of AHF ③

728x90
반응형

kcj-49-22 KSHF Guidelines for managemt of AHF.pdf


블로그 글 순서

1. 약물치료

2. Device 치료와 수술 치료

3. 급성 심부전 환자의 감시(모니터링) - 이번 블로그 내용

4. 병원 퇴원

1. 급성 심부전 환자에서 심박수, 리듬, 혈압, 호흡수, 산소 포화도는 지속적으로 감시되어야 합니다(class of recommendation I, level of evidence C).

2. Hypervolemia 교정의 효과는 증상 평가를 통해서 매일 점검되어야 합니다(class of recommendation I, level of evidence C).

3. 이뇨제 주사 혹은 RAA 길항제 치료를 시작할 때, 신기능과 혈청 전해질 수치(나트륨, 칼륨 등)는 매일 점검 되어야 합니다(class of recommendation I, level of evidence C).

4. 혈압을 감시하기 위해 arterial line을 사용하는 것은 혈압이 낮은 환자나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적인 환자에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class of recommendation IIa, level of evidence C).

참고문헌

KSHF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Heart Failure: Part II. Treatment of Acute Heart Failure

:Korean Circ J. 2019 Jan;49(1):22-4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