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혈액내과/수혈

철분 결핍 : CBC 검사의 시간차(Lagging Effect)와 빈혈 소견

728x90
반응형

CBC(Complete Blood Count)은 빈혈을 식별할 수 있지만, 철분 결핍이나 다른 원인은 식별할 수 없습니다.

CBC의 변화는 철분 결핍의 심각도에 비례하여 발생하며, 철분 검사의 변화보다 뒤처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장 철분(storage iron) 감소가 빈혈보다 선행합니다.

  • 빈혈이 생기면 (또는 생길 위험이 감지되면),
  • 몸은 부족해진 적혈구와 헤모글로빈을 새로 만들기 위해 (즉, 빈혈을 회복시키기 위해),
  • 저장되어 있던 철분(저장철)을 원료로 꺼내 쓰게 되고,
  • 그 결과 저장철이 소모되어 줄어듭니다.
  • 그래서 평형 상태가 되면 빈혈은 교정되어 있지만 저장철 감소를 초래합니다. 회복 과정의 대가로 저장철 (페리틴)이 대량으로 소모되어 그 수치가 낮거나 고갈된 상태로 남아있게 됩니다.

이어서, 헤모글로빈의 약간의 감소(보통 1~2g/dL)가 소구성(microcytosis)보다 선행합니다. 따라서, 초기 철분 결핍과 고(高)자원 환경에 있는 많은 개인의 경우, CBC는 상대적으로 정상일 수 있습니다.

 

변화의 시간차 (Lagging Effect)

가장 먼저: 저장 철분(페리틴)이 고갈됩니다. (CBC에서는 알 수 없음)

그 다음: 헤모글로빈(Hb)이 약간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빈혈 진입의 첫 단계)

가장 늦게: 소구성(Microcytosis), 즉 적혈구의 크기 감소(낮은 MCV)가 나타납니다.

헤모글로빈 농도의 변화가 적혈구 크기(MCV)의 변화보다 선행하는 이유는, 골수에서 적혈구를 생성할 때 철분이 부족해도 일단 헤모글로빈 농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노력이 한계에 도달하면 헤모글로빈 수치가 떨어지고, 더 나아가면 아예 작고 불완전한 적혈구(소구성)를 만들게 됩니다.

 

철분 결핍 – 철분 결핍과 일치하는 CBC 소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적절하게 낮은 망상 적혈구 수 (Inappropriately low reticulocyte count) – 망상 적혈구 수는 적혈구(RBC) 생산에 충분한 철분이 없기 때문에 철분 결핍에서 낮습니다; 이는 또한 여러 다른 골수 장애에서도 관찰됩니다.

철분 결핍성 빈혈 – 철분 결핍성 빈혈과 일치하는 CBC 소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낮은 헤모글로빈 및 헤마토크릿;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수치는 여성의 경우 <12 g/dL, 남성의 경우 <13 g/dL입니다. 빈혈이 없더라도, 참고 범위 내에 있는 헤모글로빈 또는 헤마토크릿의 현저한 감소(예: 기준선 15 g/dL에서 새로운 값 13 g/dL로의 감소)는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낮은 평균 적혈구 용적(MCV) 및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MCHC). 이는 각각 소구성(microcytosis) 및 저색소성(hypochromia)을 나타냅니다.
  • 증가된 적혈구 분포 폭(RDW).
  • 혈액 도말 검사(blood smear)에서의 변화. 소구성(microcytosis), 저색소성(hypochromia), 기형 적혈구증(poikilocytosis), 그리고 표적 세포(target cells)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소견 중 어느 하나라도 철분 결핍에 대한 의심을 높이고 진단 검사를 촉진해야 합니다.

기타 매개변수 – 다음 CBC 매개변수들은 철분 결핍을 진단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낮은 적혈구 수(RBC count) – RBC 수는 현저한 소구성 빈혈과 비정상적인 혈액 도말 검사 소견을 가진 개인에서 철분 결핍과 지중해성 빈혈(thalassemia)을 구별하는 데 유용합니다. 낮은 RBC 수는 철분 결핍의 특징이며, 증가된 RBC 수는 지중해성 빈혈의 특징입니다. 헤모글로빈이 9 g/dL인 환자의 일반적인 RBC 수는 약 3백만/microL입니다.
  • 증가된 혈소판 수(platelet count) – 철분 결핍 시 혈소판 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에리트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에 의한 혈소판 전구세포의 자극의 결과로 여겨집니다.

참고문헌 UpToDate 2025.11.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