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독성 쇼크 증후군(TSS)에 대한 임상적 기준을 수립했습니다 (표 1).
이 기준은 전염병 감시를 위해 수립되었으며, 모든 기준이 충족되지 않더라도 TSS에 대해 매우 의심스러운 사례를 배제하는 데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독성 쇼크 증후군의 임상 발현으로는 발열, 저혈압, 피부 발현 등이 있습니다. 추가적인 증상과 징후에는 오한, 불쾌감, 두통, 인후통, 근육통, 피로, 구토, 설사, 복통, 기립성 현기증 또는 실신이 포함됩니다.
TSS의 증상과 징후는 대개 건강한 사람들에게서 빠르게 나타납니다. 생리 발생과 TSS 사이의 median interval은 2 ~ 3 일이며 수술 후 증상의 발현은 2 일이지만 수술 후 65 일까지도 보고되었습니다.
입원 초기 48 시간 동안, 환자는 diffuse erythroderma, 심한 물 설사, 소변량 감소, 청색증, 사지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졸음, 혼란, irritability, agitation 및 환각과 같은 신경 증상은 뇌허혈 및 부종에 이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REF. UpToDate 2018.05.05
728x90
반응형
'미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성 쇼크 증후군, 항생제, Staphylococcal toxic shock syndrome, antibiotics (0) | 2018.05.06 |
---|---|
독성 쇼크 증후군, 진단, Staphylococcal toxic shock syndrome, diagnosis (0) | 2018.05.05 |
독성 쇼크 증후군, 피부 발현, Staphyl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kin manifestations (0) | 2018.05.05 |
독성 쇼크 증후군, 포도상구균, 역학, Toxic shock syndrome, S. aureus, epidemiology (0) | 2018.05.05 |
Staphylococcus aureus의 세 가지 연관된 증후군을 유발하는 외독소 (0) | 2018.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