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aureus와 관련된 독성 쇼크 증후군(TSS)은 1978 년에 일련의 소아 환자에서 처음으로 기술되었습니다. 1980 년에 그 발생률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월경 관련 TSS가 보고된 812 건의 사례가 주로 젊은 백인 여성들에게서 발생했습니다. 임상 질환은 월경 중에 발생했으며 흡수성 탐폰의 사용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TSS의 발병률은 일부 탐폰 브랜드의 철수 이후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이후에 2000 년과 2003 년 사이에 발생률은 약간 증가했습니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발병률은 10 만명당 0.8에서 3.4로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menstrual age 여성에게서 발생했으나 월경 및 비월경기모두 포함하였습니다. 이것은 전체 발생률 증가보다는 독소 생산 균주에 대한 실험실 검사를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인식력이 향상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2000 년부터 2006 년까지 미네아폴리스 지역에서 실시된 한 연구는 24 세 이상 여성에서 menstrual TSS가 매년 감소하고 staphylococcal TSS 의 발생률이 안정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유사하게, 콜로라도 병원들에서 TSS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검토에서 1993 년과 2006 년 사이에 staphylococcal TSS 발병률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습니다.
① Menstrual cases
1979 년과 1996 년 사이에 약 5300 건의 TSS가 보고되었습니다. 특히 nonmenstrual cases에서는 보고가 안된 경우가 있었을 것입니다. 생리와 관련된 경우의 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했습니다(1987 년에서 1996 년 사이: 59 %, 1979 년과 1980 년 사이: 91 %).
Menstrual TSS의 증례 수가 1980 년 10 만 명당 9 명에서 1986 년 이후 10 만명당 1 명으로 감소했습니다. Menstrual TSS의 경우 case-fatality rate도 감소했습니다(1979 년에서 1980 년 사이: 5.5 %, 1987 년과 1996 년 사이: 1.8 %).
시장에서 흡수성이 높은 탐폰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레이온 함유 제품의 회수는 menstrual cases의 감소를 부분적으로 설명합니다. 그러나 탐폰의 사용은 여전히 TSS의 위험 인자입니다. TSS가 발생하는 여성은, 높은 흡수성이 있는 탐폰을 더 사용하였고, 생리 cycle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사용하였고 오랜 기간 동안 단일 탐폰을 사용하였습니다.
① Nonmenstrual cases
보고된 TSS 사례의 약 절반은 생리와 관련이 없습니다. Nonmenstrual TSS는 외과 및 산후 창상 감염, mastitis, septorhinoplasty, sinusitis, osteomyelitis, arthritis, burns, cutaneous and subcutaneous lesions(특히 extremities, perianal area, axillae), 인플루엔자를 포함한 호흡기 감염 및 장염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관찰되었습니다.1979 년에서 1996 년 사이에 외과적 수술을 받은 환자의 비율은 14 %에서 27 %로 증가했습니다.
1979 년과 1996 년 사이의 TSS 사례를 포함하는 한 보고서에서 93 %가 여성에서, nonmenstrual cases의 73%가 여성에서 발생하였습니다. 그러나 130 건의 사례를 포함한 한 연구에서 성별 분포가 질 및 산후 관련 사례를 제외하고 동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onmenstrual TSS는 나이가 많으며(평균 연령 27 세 대 23 세) menstrual TSS 환자보다 nonwhite인 경우가 더 많습니다. 한 보고서에서 nonmenstrual TSS의 case-fatality은 5 %였습니다. 2000 년과 2006 년 사이에 미네소타에서 발생한 61 건의 TSS 사례에 대한 또 다른 연구에서 28 건의 nonmenstrual cases가 있었습니다; 이 중 36 %에서 1 차적인 출처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TSS는 또한 어린이에서도 발생합니다. 1979 년과 1996 년 사이에 5 세 미만의 50 예가 보고되었습니다. 2 세 이하의 어린이는 이 경우의 약 절반을 차지했으며 62 %는 선행하는 피부 병변이 있었습니다.
REF. UpToDate 2018.05.05
'미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성 쇼크 증후군, 항생제, Staphylococcal toxic shock syndrome, antibiotics (0) | 2018.05.06 |
---|---|
독성 쇼크 증후군, 진단, Staphylococcal toxic shock syndrome, diagnosis (0) | 2018.05.05 |
독성 쇼크 증후군, 피부 발현, Staphyl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kin manifestations (0) | 2018.05.05 |
독성 쇼크 증후군(TSS)에 대한 임상적 기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0) | 2018.05.05 |
Staphylococcus aureus의 세 가지 연관된 증후군을 유발하는 외독소 (0) | 2018.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