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염내과/서론

잠복기와 잠재기, Incubation period and latent period

728x90
반응형

 

latent periodㅇ가 incubation period보다 짧다고 받아 들이면 안되고

위 incubation-disease

아래 latent period, period of communicability는 별개 설명인데 붙여 놓은 것입니다.

Incubation period는 잠복기로 번역하고

병원균이 사람 몸에 침입한 이후 해달 질병의 증상이 시작된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입니다.

즉, incubation perioid가 끝나고 symptomatic period가 시작됩니다.

그럼 전염력은?

Incubation peroid는 병원균이 사람 몸에 들어간 후 무증상인 기간이므로

전염력과 무관합니다. 병원균에 따라 전염력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중간 정리)

잠복기 (incubation period)는 증상에 중점을 둔 기간이며 (무증상이다)

이 시기에 전염력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감염 시기가 아니라 질병 사례 발견 시점을 결정하기 때문에 역학에서 중요합니다.

Latent period는 잠재기로 번역하고

사람이 감염된 이후 병원균을 전파하는 '감염 능력'을 갖게 되기까지의 기간입니다.

감염력을 갖지 않았으므로 pre-infectious period라 불립니다.

그럼 증상은?

잠재기 동안 증상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즉, incubation period 기간과 겹칠 수도 있고 incubation period가 끝났을 수도 있습니다. 증상이 있든 없든 간에 다른 사람에게 전염력이 없습니다.

Latent period는 incubation period보다 다소 감염병이나 유행병의 확산 역할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최종 정리)

  1. Incubation period는 잠복기로 번역하고 증상이 나타나기 전까지의 기간이다. 점염력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2. Latent period는 잠재기로 번역하고 전염력을 갖게 되기까지의 기간이다. 증상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Latent period = pre-infectious period

 

Case 1

환자 한 명이 1일 전 먹은 A라는 음식 때문에 위장염이 생긴 것 같다며 내원하였습니다.

하지만 병력 청취를 해 보면 3일 전 복용한 B라는 음식 때문 가능성이 더 컸습니다.

이 B라는 음식에 포함된 병원균의 잠복기가 그 정도 되기 때문입니다.

Case 2

또 다른 환자 한 명이 1일 전 먹은 A라는 음식 때문에 위장염이 생긴 것 같다며 내원하였습니다.

가족들 모두 A라는 음식을 먹었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한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병력 청취를 해 보면 2일 전 복용한 B라는 음식 때문 가능성이 더 컸습니다.

이 B라는 음식에 포함된 병원균의 잠복기가 그 정도 되기 때문이며 B 음식도 가족 모두 먹었습니다.

여기서 예를 든 두 케이스에서 잠복기는 latent period가 아니고 incubation period입니다.

REF. Wikipedia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