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골밀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에 DXA는 lumbar spine, total hip, femoral neck, one third radius에서 측정한 T 값으로 골다공증 진단을 합니다.
Clinic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spine L1-L4와 femoral neck, total hip 중에서
가장 낮은 값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 spine L1-L4를 해석하는 방법은 별개로 하겠습니다.
검진센터에서 골밀도 검사를 한 후 가지고 온 sheet에
spine L1-L4만 있는 경우도
femoral neck 또는 total만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한 곳을 고르라고 하면 femoral neck입니다.
아래 FRAX에서도 femoral neck BMD를 입력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WF8o/btrHPdbXgv0/xO2dbEqeLhLuDT7dQIekJK/img.png)
WHO도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국제 표준을 femoral neck을 이용한 DXA T점수를 사용하여 만들 것을 권고합니다.
그러나 NOF, ISCD는 임상에서 lumbar LA-L4, total proximal femur, femoral neck 중에 가장 낮은 값을 사용하여 골다공증을 진단할 것을 제안합니다. UpToDate도 이 방식을 따릅니다.
*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 (ISCD)
Ref. UpToDate 2022.07.21
2022년 제12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내과 연수강좌
728x90
반응형
'내분비내과 > 골다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 골다공증 약제 선택, 비스포스포네이트 (0) | 2023.03.07 |
---|---|
2023 ACP 골다공증 치료 가이드라인 발췌 정리 (0) | 2023.02.11 |
골다공증 정의 및 역학 [진료지침 2020, 골대사학회] (0) | 2022.05.28 |
골다공증 치료제, 라록시펜의 효능/병합 치료/치료기간 (0) | 2022.05.28 |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골밀도검사, 급여기준 (0)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