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횡문근 융해증에 대해서는 이전 블로그에서 많이 언급하였습니다.
20대/남자
소변이 붉다. 최근에 운동을 심하게 하였다.
소변 : 잠혈 3+ 양성이지만 RBC 0-2개/HPF
AST/ALT 1,338/323, CPK > 15,000, LDH 6,530, 마이오글로빈 3,000
Dx) Rhabdomyolysis
Hyperthyroidism
요단백 2+, 백혈구 trace는 rhabdomyolysis 초기에 손상된 myocytes에서 나오는 myoglobin과 다른 세포 내 단백질이 detect되어 나올 수 있어서 hydration 후에 다시 재검해서 평가하기로 함
물, 게토레이, 포카리스웨트 많이 마시도록 교육
2일 후 추적 검사
소변 : 잠혈 3+ 양성이지만 RBC 0-2개/HPF (단백뇨 소견 없어짐)
AST/ALT 1,579/435, CPK > 15,000, LDH 6,659
Dx) Rhabdomyolysis
(소변은 묽어 졌으나 혈액검사는 좋아지지 않음. 임상 증상이 호전 중이어서 좋아질 것으로 예상)
Hyperthyroidism
※ Key message
횡문근융해증에서 단백뇨가 보일 수 있는데 (한 연구에서는 환자의 45 %), 이것은 손상된 근육세포에서 분비된 마이오글로빈과 다른 세포 내 단백질들 때문에 그렇습니다. Hydration 한 후 횡문근융해증이 좋아진 상태에서 재검하면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주 후 검사 결과
728x90
반응형
'신장내과 > 급성신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속적신대체요법, 적응증,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indications (0) | 2020.06.12 |
---|---|
IV contrast 주사 후에 AKI 위험이 높은 환자들과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서 사전 조치 (0) | 2020.03.21 |
횡문근융행증에서 소변색이 먼저 묽어지고 혈액검사 수치는 뒤늦게 좋아지는 것일까? No... (0) | 2020.03.07 |
AKI의 예후 인자, 2012 KDIG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0) | 2019.10.01 |
고위험 환자들에서 메트포민 또는 신독성 약물의 중단 (0) | 2019.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