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내과/골다공증

PTH의 만성 노출은 bone resoption을 초래하지만 recombinant human PTH 간헐적 투여는 bone formation을 자극합니다.

728x90
반응형

부갑상선호르몬 (PTH, parathyroid hormone)은 칼슘의 주된 저장소인 뼈에 작용하여 두 단계로 칼슘을 방출합니다.

① PTH의 즉각적 효과는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세포외액과 균형을 이루는 뼈 저장소로부터 칼슘을 동원하는 것입니다.

② 이후에 PTH는 bone resorption을 활성화시킴으로서 칼슘 (또한 phosphate도) 방출을 자극합니다.

지배적인 견해는 osteoclasts가 아닌 osteoblasts가 PTH 수용체를 표현한다는 것이었습니다. PTH는 bone remodeling을 증가시키기 위해 osteoblasts를 목표로 합니다. PTH 자극으로 preosteoblasts가 뼈를 만드는 osteoblasts로 성숙하고 matrix를 mineralize합니다. Remodeling unit은 항상 쌍을 이루고 있어서 (bone formation equals bone resorption) 일단 preosteoblasts가 자극되면 osteoclasts를 활성화시키는 싸이토카인을 분비하고 결과적으로 bone resorption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osteoclast formation은 osteoblastic lineage의 세포들과 상호관계를 필요로 하고 cell-cell contact와 RANK (the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osteoprotegerin, RANK ligand (RANKL)와 같은 조절인자에 의존적입니다. PTH는 RANKL와 osteoprotegerin에 대한 효과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osteoclast 활성과 수를 증가시킵니다.

PTH의 뼈에 대한 전체 효과는 PTH excess의 severity와 chronicity에 따라서 다양합니다. 높은 혈청 PTH 농도에 만성적으로 노출된 경우 (예, 일차성 또는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bone resoption을 초래하고, 반면에 recombinant human PTH (both full-length 1-84, fragment 1-34)의 간헐적 투여는 resorption보다는 bone formation을 자극합니다.

* 이 내용은 ① recombinant human PTH의 osteoblastic effect ② 로모소주맙 (이베니티주) ③ 비스포스포네이트 작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Remodeling unit은 항상 쌍을 이루고 있어서 (bone formation equals bone resorption) 일단 preosteoblasts가 자극되면 osteoclasts를 활성화시키는 싸이토카인을 분비하고 결과적으로 bone resorption을 초래합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bone resorption을 억제하지만 bone formation도 억제합니다. 그렇지만 bone resorption 억제를 bone formation 억제보다 더 크게 하므로 골밀도 증가 효과가 있습니다. Recombinant human PTH도 bone formation과 bone resorption을 증가시키지만 bone formation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골밀도 증가 효과가 있습니다.

로모소주맙은 이 약제들과 달리 bone resorption을 줄이고 bone formation을 증가시킵니다. There was a transient increase in bone formation markers and a more sustained decrease in bone resorption markers, a pattern that has not been seen among available osteoporosis therapies.

 

https://blog.naver.com/sjloveu2/222042011558

 

REF. UpToDate 2020.07.27

2020 대한골다공증학회 춘계 연수강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