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

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 [3. 고혈압의 치료] (2) 비약물치료 및 생활요법 제 III 장. 고혈압의 치료 9. 비약물치료 및 생활요법 건강한 식사습관, 운동, 금연, 절주 등과 같은 비약물치료 또는 생활요법은 혈압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뚜렷하기 때문에 모든 고혈압환자에게 중요할 뿐 아니라, 주의혈압 및 고혈압 전단계 혈압인 사람에게도 고혈압의 예방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권장한다. 좋은 생활습관은 고혈압약 한 개 정도의 혈압 강하 효과가 있다201). 또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고혈압환자도 생활요법을 병행함으로써, 복용 약의 용량 및 개수를 줄이고 약의 효과를 최대화하며,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혈압을 낮추는 효과 이외에 도 다른 심혈관 위험을 동시에 감소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생활요법은 지속적으로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고, 효과 면에서 ..
운동 유발성 기관지수축, Exercise-induced bronchoconstriction (EIB) Exercise-induced bronchoconstriction(EIB)는 운동 동안 또는 직후에 발생하는 급성 기관지수축을 나타내는 말로서 exercise-induced asthma라고 기술하기도 하지만 이 용어는 잠재적으로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운동은 천식의 독립적 위험 인자가 아니며, 천식이 있는 환자에서 다소 기관지수축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감소된 신체 활동이 천식의 위험 인자라는 일부 추측이 있고 운동은 소아에서 천식 발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IB가 기저 병태생리를 좀 더 정확하게 반영하고 이 용어 사용을 선호합니다. 일반적으로 만일 EIB가 조절되지 않는 천식 환자에서 빈번하게 발생한 것이라면 가장 중요한 전략은 전체적인 천식 조절을 개선하는 것..
혈압이 아주 높으면 운동만으로 정상화되지 않습니다. Hypertension and exercise 수축기 혈압이 160/100 mmHg 이상인데도 한 번 약을 복용하면 평생 복용해야 하므로 혈압약을 복용하지 않고 운동 열심히 하겠다는 환자들이 있습니다. ​ 운동 열심히 하면 혈압이 감소하는 것은 맞지만 160/100 mmHg인 사람이 약을 안 먹을 정도로 낮아지지 않습니다. 체중 그대로, 생활 습관 그대로인데 운동만 한다고 혈압이 정상까지 떨어지지 않습니다. ​ 일주일 열심히 하면 평균 수축기 혈압 5 mmHg 정도 감소합니다. 다음 표는 2018 우리나라 고혈압 가이드라인에서, 그 이하 글 내용은 UpToDate에서 발췌하였습니다. 1주일 열심히 하면 혈압 감소 정도가 수축기 혈압 4~6 mmHg 정도입니다. ​ *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 없다는 뜻이 아니라, 생활습관 개선은 혈압, 당뇨, 고지혈증에..
운동부하 심전도를 할 수 없는 경우 noninvasive testing Patient cannot exercise to a satisfactory workload1. Stress radionuclide myocardial perfusion imagin Resting ECG가 비정상(예, preexcitation syndrome, >1 mm of resting ST-segment depression, LBBB, paced ventricular rhythm)인 경우, exercise (또는 pharmacologic) stress 동안 IV thallium-201 또는 99m-technetium sestamibi 투약 후의 stress myocardial radionuclide perfusion imaging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Perfusion을 평가하는 또 다른 기..
국민건강보험, 생활습관평가와 처방전 의사나 환자나 관심이 없고 실질적이지 않은 항목들이 너무 많습니다.
운동 유발성 천식, 치료와 예방, EIB/EIA, quick relief and preventive treatment 이전 블로그: https://blog.naver.com/sjloveu2/220836985010 운동 유발성 천식에서 SABAs(albuterol [salbutamol], levalbuterol)는 빠른 증상 경감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입니다.2 회 흡입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충분하고 때때로 4회 흡입이 필요합니다. Ipratropium은 일반적으로 빠른 증상 경감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기관지 확장 발현에 15분 정도 시간 지연이 있기 때문입니다. Short-acting beta-agonists (SABAs; albuterol [salbutamol], levalbuterol) are the most effective therapy for quick relief of EIB. All p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