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썸네일형 리스트형 클렙시엘라 뉴모니아 [폐렴막대균; 폐렴간균], Klebsiella pneumoniae K. pneumoniae 폐렴의 임상 양상은 다른 세균성 폐렴의 임상 양상과 유사합니다 (예, cough, fever, pleuritic chest pain, dyspnea, tachypnea, sputum production, crackles on physical examination, leukocytosis). K. pneumoniae 폐렴은 현저한 염증, 괴사와 관련이 있어 "currant jelly" sputum이라 불리는 thick, mucoid & blood-tinged sputum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Community-acquired K. pneumoniae는 종종 Streptococcus pneumoniae와 방사선학적으로 유사한 lobar pneumonia를 만들 수 있습니다. Rig.. 수막구균(나이세리아 메닌지티디스), 예방접종의 근거, Neisseria meningitidis, Rationale for vaccination N. meningitidis는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왔습니다. 그렇지만 전체 인구보다도 2세 미만 소아에서 거의 10배 가량 높습니다. 고위험 그룹은 6개월~2세 사이의 소아와 대학교 신입생, 신병(군인)들입니다. N. meningitidis can cause both endemic and epidemic infection. Meningococcal infections are endemic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annual incidence of invasive meningococcal disease varies in multiyear cycles; the most recent peak in incidence occurred during the mid-1990s. Betwe..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 치료 부분에서 항생제, Corynebacterium diphtheria, treatment and anbiotics 치료 호흡기 디프테리아(respiratory diphtheria)의 치료는 항생제 치료와 심한 경우 디프테리아 항독소로 구성됩니다. 조심스러운 기도 관리는기도 폐쇄의 위험 때문에 중요합니다. 또한 환자는 심근 손상의 강도를 반영하는 심근 효소 및 심전도 측정을 통해 모니터링 해야 합니다. 신경학적 상태도 신중하게 모니터링 해야 합니다.호흡기 디프테리아 환자는 호흡기 질환에 대한 respiratory droplet isolation 및 피부 질환에 대한 contact precautions를 취해야 합니다. 적어도 24 시간 간격으로 두 번 연속 배양 음성이 될 때까지 격리를 계속해야 합니다. 피부 디프테리아(cutaneous diphtheria)의 치료는 항생제 치료로 이루어집니다. Pseudoteme.. 보툴리눔 독소증, 식품매개 보툴리누스중독 , Clostridium botulism, foodborne botulism ② 이전 블로그 글에서 그람 양성 간균에 대해 언급하였습니다.https://blog.naver.com/sjloveu2/221269569695 https://blog.naver.com/sjloveu2/221269569695 또한 보툴리눔증은 획득 방식에 따라 Infant botulism, Foodborne botulism, Wound botulism, Iatrogenic botulism, Adult intestinal colonization, Bioterrorism-associated botulism로 구분하고 보툴리눔 독소증, 유아 보틀리눔증, Clostridium botulism, infant boltulism ① 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 바실루스 세레우스, 경험적 항생제, B. cereus, empiric antibiotic therapy B. cereus에 의한 식중독 치료에는 항생제가 사용되지 않습니다. 식중독은 이미 만들어진 독소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경험적 항생제는 균혈증, device-related infections, 심내막염, 근골격계 감염, 중추 신경계(CNS) 감염 및 cular infection을 비롯한 다른 임상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일단 in vitro susceptibility testing이 가능하다면 Bacillus spp 감염 치료를 위한 항생제 선택은 이 결과에 따릅니다. 대부분의 B. cereus isolates는 beta-lactamases를 생산하며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에 내성을 지닙니다. 이런 이유로,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은 Bacillus spp infection의 경험적 치료를 위.. 독성 쇼크 증후군, 항생제, Staphylococcal toxic shock syndrome, antibiotics 항생제 치료 Antistaphylococcal 항생제 치료는 세균을 박멸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권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TSS가 의심되는 모든 환자는 clindamycin(성인 : 정맥 내 900 mg(8 시간마다), 어린이 : 25-40 mg / kg 3 회 분할 투여) plus 반코마이신(성인: 15 ~ 20 mg/kg/dose , 8 ~ 12 시간마다,1 회 dose당 2g을 넘지 않아야, 소아: 40mg / kg/day를 4 회 분할 투여)으로 경험적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배양 및 감수성 결과가 있다면 다음과 같이 권고합니다. ▶ Methicillin-susceptible S.aureus(MSSA)로 인한 TSS 환자는 clindamycin과 oxacillin 또는 na.. Staphylococcus aureus의 세 가지 연관된 증후군을 유발하는 외독소 Staphylococcus aureus는 모낭염 및 피부 농양에서 균혈증 및 심내막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감염을 일으킵니다. S. aureus는 anterior nares, 피부, 질 및 직장에서 가장 흔하고건강한 성인과 어린이의 30-50 %의 피부 및 점막에 있습니다. 이 균은 조직에서 증식하여 염증과 농양을 유발하는 여러 효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많은 균주가 세 가지 연관된 증후군을 유발하는 외독소를 생성합니다. ① S. aureus enterotoxin 섭취로 인한 식중독 ② Exfoliative toxin로 인한 scalded skin syndrome ③ Toxic shock syndrome toxin-1 (TSST-1) 및 다른 enterotoxins에 의해 유발된 toxic shock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