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만성폐쇄성폐질환

엘립타 시연 흡입기와 연습 흡입기 [demonstration device, inhalation trainer] ■ 엘립타 제품 중에 렐바 엘립타는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사용됩니다. https://blog.naver.com/sjloveu2/222374185173 [흡입용 천식, COPD 치료제] 렐바100엘립타, 렐바200엘립타 [글락소스미스클라인, GSK] 렐바100엘립타와 렐바200엘립타는 흡입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베타2항진제 (long acting)의 병합 약제입니... blog.naver.com ■ 다음과 같은 엘립타 연습 흡입기는 진료 시간을 단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보통 처음으로 흡입기를 사용하는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가 흡입기를 직접 사용하도록 하면서 교정할 부분을 알려 주기 때문에 흡입제를 받은 후 다시 병원에 내원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엘립타 연습기는 애초에 첫 진료 시 환자에게 흡입..
안정 시 만성폐쇄성폐질환 치료 만성폐쇄성폐질환 안정 시 치료제 선택 1. '가'군, '나'군, '다'군을 구분합니다. mMRC, CAT 점수로 구분하며 CAT 점수를 외래에서 평가하기 어려우면 mMRC 점수 2점 이상은 '나'군으로 간주합니다. '다'군은FEV1 < 60%,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급성 악화 2회 이상, 입원할 정도의 급성 악화 1회 이상입니다. ​ 2. 흡입제 선택은 다음과 같이 합니다. '가'군은 SABA '나'군은 LAMA 또는 LABA 또는 LABA + LAMA '다'군은 LABA + LAMA ​ ■ '가'군은 SABA이고 '나'군과 '다'군은 LABA + LAMA를 사용해도 된다고 기억해도 됩니다.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l..
만성폐쇄성폐질환 급성 악화에서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 ​ 응급실로 내원했을 때 경구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빠르게 흡수되어 섭취 1시간 이내에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하며 IV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동등한 효능을 갖습니다. 그러나 심한 악화 경우, 집에서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 경구 섭취를 할 수 없는 경우, 쇽과 같이 위장관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경구 흡수가 잘 안되는 경우에는 IV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투약합니다. ​ GOLD 가이드라인은 대부분의 COPD 급성악화의 경우 프레드니손 40 mg과 동등한 용량을 권유합니다. 빈번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프레드니손 30-60 mg을 하루 1회부터 메틸프레드니솔론 60-125 mg을 하루 2-4회 투약까지이며 중증도에 따라 결정합니다. ​ GOLD 가이드라인은 프레드니손 30-40 mg, 하루 ..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사용하는 기관지확장제, Bronchodilator in COPD Bronchodilator in COPD ​ 1. Short-acting beta agonists (SABA) Albuterol (salbutamol, ventolin ®) Levalbuterol ​ ​ ​ 2. Short-acting muscarinic antagonist (SAMA; also known as anticholinergic) Ipratropium (Atrovent ®) ​ ​ ​ 3. Long-acting beta agonist (LABA) Salmeterol (Serevent ®, GSK) Formoterol (Foradil ®, Novartis) Arformoterol (Brovana ®, Sunovion) Indacaterol (Onbrez ®, Novartis) Vilanterol..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COPD FEV1 감소 중증도가 COPD 악화와 역의 관계가 있을지라도 FEV1 단독으로 각 개인에서 급성악화를 예견하지 못합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FEV1은 더 이상 ABCD 평가 카테고리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COPD GOLD "ABCD" grading: Assessment of symptoms and risk of exacerbations for initiation of COPD therapy Assess exacerbation risk: Exacerbations/Hospitalizations Assess symptoms mMRC* 0 to 1; CAT
Initiation of Tx based on the GOLD ABCD assessment of Sx. and risk of exacerbation [Stable COPD] The GOLD system은 증상 평가와 미래의 급성악화와 입원 위험에 근거하여 환자들을 구분합니다. ​ Management of stable COPD: Initiation of therapy based on the GOLD ABCD assessment of symptoms and risk of exacerbation* Groups Symptoms Risk Suggested treatment All Avoidance of risk factor(s), such as smoking Annual influenza vaccination Pneumococcal vaccination Regular physical activity Regular review/correction of inhaler technique ..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단과 폐기능검사,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iagnosis and PFT COPD에 합당한 증상 (예, 안정 또는 운동시 호흡곤란, 기침 (±가래), 점진적 활동제한)의 존재는 특히 COPD 유발인자에 대한 노출 병력, 만성폐질환의 가족력, 관련된 comorbidities가 있는 경우 진단을 시사합니다. ​ COPD는 다음과 같이 진단합니다. ㉮ Inhaled bronchodilator 흡입 후에 불완전하게 가역적인 기류 제한을 나타내는 spirometry (예, FEV1/FVC ratio < 0.7 또는 < LLN) ㉯ 증상과 airflow limitation을 설명할 다른 원인이 없음 ㉰ GOLD 가이드라인은 초기 FEV1/FVC이 0.6-0.8 사이인 환자에서 지속적인 airflow limitation을 입증하기 위해 다른 날 spirometry를 반복할 것을 제안합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의 유발 인자, COPD acute exacerbations, triggers COPD acute exacerbations에서 호흡기 감염 원인들 중 바이러스와 세균 감염(Haemophilus influenzae, Moraxella catarrhalis, Streptococcus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이 대부분이며(70 %) 비전형적 세균은 상대적으로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남은 30 %는 환경 오염, 폐색전증, 원인 미상입니다. ​ REF. UpToDate 2019.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