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썸네일형 리스트형 수축기혈압이 매 20 mmHg, 이완기혈압이 매 10 mmHg 상승할 때마다 심장질환 또는 뇌졸중의 위험은 2배 증가 수축기 혈압 115 mmHg, 이완기 혈압 75 mmHg를 기준으로 수축기혈압이 매 20 mmHg, 이완기혈압이 매 10 mmHg 상승할 때마다 심장질환 또는 뇌졸중의 위험은 2배씩 증가합니다. 심혈관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은 혈압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데 수치로 표현하면 그렇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모든 연령 그룹에서 발생합니다. 그렇더라도 나이가 절대적인 위험인자임을 알 수 있습니다. 40대 수축기혈압 160 mmHg인 사람보다 80대 수축기혈압 120 mmHg 사람이 위험이 더 높습니다. 수축기혈압이 20 mmHg, 40 mmHg, 60 mmHg 더 증가하면 심장질환 또는 뇌졸중 위험은 2배, 4배, 8배 증가합니다. 이러한 내용은 2002년도 Lancet에 발표되었고 2004년 공중보건의를 위한 진료.. 무증상 경동맥협착 환자에서 스텐트가 이득이 있는가? 이전 블로그 : 경동맥 협착증, Intensive medical therapy vs Revascularization ? [경동맥 초음파] https://blog.naver.com/sjloveu2/222946987332 경동맥 협착증, Intensive medical therapy vs Revascularization ? [경동맥 초음파] ■ 경동맥 초음파에서 확인된 경동맥 협착증 중요한 것은 intensive medical therapy가 무증상 경동맥 협차... blog.naver.com Carotid artery stenting (CAS)을 적용한 대부분의 최근 임상시험들은 CAS을 carotid endarterectomy (CEA)와 비교하였습니다. 특히 혈압과 이상지질혈증 관리에 대한 현재 목표를.. 급성 허혈성 뇌졸증 치료에서 tenecteplase 0.4 mg/kg에 대한 안전성 급성 허혈성 뇌졸중 치료에서 tenecteplase 0.4 mg/kg에 대한 안전성 IV tenectaplase는 이전 급성 뇌졸중 trials에서 alteplase와 유사한 효능과 안정성 결과를 보였으나 최적 용량은 불확실함. NOR-TEST 2 part A trial에서 alteplase 0.9 mg/kg와 비교하여 tenectaplase 0.4 mg/kg는 증상이 있는 뇌내 출혈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임. 더구나 favorable outcome의 비율도 의미 있게 더 낮았으며 사망률도 더 높은 경향을 보임. 이러한 소견을 근거로 할 때 이 trial은 조기에 종료됨 이 결과들이 확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tenectaplase 0.4 mg/kg은 IV thrombolysis를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 [외래 진료9] 고혈압과 심장질환, 뇌졸중 사망률 2019.07.17 160/100 mmHg. rec) medication 2020.06.08 142/88 mmHg. rec) medication 2020.06.09 155/90 mmHg. rec) medication 2020.10.30 145/90 mmHg. rec) medication 2021.01.08 155/90 mmHg. rec) medication 2019년부터 고혈압 약물을 권유하였으나 고혈압 약물을 먹으면 몸에 좋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복용을 하지 않는 환자의 외래 방문 혈압입니다. 2019.07.17 D 고혈압입니다. 고혈압 약물을 드시는 것 좋겠습니다. P 아래도 약이니깐 먹으면 몸에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다음에도 높으면 먹겠습니다. 2021.01.09 D 고혈압 약물을..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혈압 조절,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Synopsis Elevated BP is common during acute ischemic stroke (occurring in up to 80% of patients), especially among patients with a history of hypertension. However, BP often decreases spontaneously during the acute phase of ischemic stroke, as soon as 90 minute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Countervailing theoretical concerns about arterial hypertension during acute ischemic stroke include aimin.. 2018 대한부정맥학회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 지침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과 출혈 위험도 예측 뇌졸중과 전신 색전증 예측 점수체계과거 1990년대 후반부터 작은 코호트 연구를 기반으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뇌졸중 위험도 분류체계가 개발되어 왔으나, CHA2DS2-VASc 점수체계(Table 1)의 도입은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응고제 요법 여부의 결정을 단순하고 쉽게 만들었다[1]. 2010년에 유럽심장학회 지침서[2]에 처음 포함된 이래로 현재는 북미를 포함한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다[3,4]. CHA2DS2-VASc 점수체계는 과거에 사용되던 CHADS2 점수체계에 위험 인자가 세분화 혹은 추가되면서 저-중등도 위험도의 환자들을 더 잘 선별해낼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5,6], 국내에서 시행된 후향적 분석 연구들에.. Ischemic stroke management, acute therapy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표 2)의 경우 명확한 증상 발현 후 4.5 시간 이내에 치료가 시작된다면 정맥 내 alteplase가 일차 치료제입니다. Alteplase의 이점은 시간 의존적이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echanical thrombectomy은 anterior circulation에서의 큰 동맥 폐색으로 인한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됩니다. Ischemic stroke management Alteplase와 endovascular thrombectomy을 통한 정맥 내 혈전 용해 이외에도 허혈성 뇌졸중에 대한 많은 interventions이 감소된 장애, 합병증 또는 뇌졸중 재발과 관련이 있습니다.① Antithrombotic therapy with .. 뇌졸중 증상, Signs of stroke 50대/남자 오늘 오전부터 말이 어눌하고 잠이 오려고 하고 걷는 것도 비틀거려서 내원하였습니다. 의원에서 병력을 자세히 묻거나 신체진찰을 진행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경우는 뇌졸중 증상이므로 빨리 응급실로 보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FAST는 뇌졸중의 증상을 기억하는 방법입니다. F : Face : 한 쪽 얼굴이 쳐지거나 고르지 않아 보일 때 A : Arm : 한 쪽 팔 또는 양쪽 팔이 저리거나 힘이 약해질 때. 양쪽 팔을 들고 뻗었을 때 한 쪽 팔이 아래로 쳐질 때. S : Speech : 말하는 것이 불편할 때. 말하는 것을 다른 사람이 들었을 경우 이상할 때. T : Time : 위 뇌졸중 증상들 중의 어떤 것이라도 있다면 119를 부르면 됩니다. 치료가 빠를수록 회복할 기회도.. 이전 1 2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