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세포암

간세포암종, 병기와 예후 [Hepatocelluar carcinoma (HCC), staging and prognosis] UpToDate 2022.01.01 간세포암종 (hepatocellular carcinoma, HCC)의 예후를 예견하기 위해 제안된 여러 시스템들이 있지만 보편적으로 채택된 것은 없습니다. 4가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시스템들에는 생존의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서 ① 기저 간질환 ② 종양 크기 ③ 인접 구조물로 침범 ④ 전이 여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1) Tumor, node, metastasis (TNM) system of the combined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Union for International Cancer Control (UICC) 2) Okuda system 3) Barcelona Clinic L..
TACE, absolute contraindications, relative contraindications ​ HCC가 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 TACE 하려고 하면 암이 없는 정상 간도 허혈성 손상(*)을 받아 간부전에 빠질 수 있습니다. 물론 시술 전 간기능이 제일 중요하기는 하지만, 간의 대부분을 HCC가 차지하고 있다면 (이러한 경우는 간기능이 대부분이 좋지 않기는 하지만) TACE는 어렵습니다. ​ * Treatment-induced ischemic damage ​ Absolute contraindications to TACE : absent or severely reduced portal vein flow (eg, tumoral or nontumoral portal vein occlusion, or hepatofugal blood flow) and decompensated cirrhosis..
Nivolumab plus ipilimumab for advanced hepatocellular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sorafenib Clinical trial에 등록하기 어려운 HCC 환자에서 사용되는 2차 약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sorafenib (1차 약제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 ② regorafenib ③ nivolumab with or without ipilimumab ④ pembrolizumab ⑤ lenvatinib (1차 약제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 ​ 소라페닙 사용에도 암이 진행하거나 소라페닙을 복용하기 어려운 대부분의 환자에서 regorafenib보다는 immune checkpoint inhibitors인 ​nivolumab with or without ipilimumab 또는 pembrolizumab을 제안합니다. While regorafenib has also been approved for this pati..
BCLC staging system and therapeutic strategy BCLC staging system and therapeutic strategy. BCLC classification comprises five stages that select the best candidates for therapies according to evidence-based data. Patients with asymptomatic early tumors (stages 0–A) are candidates for radical therapies (resection, transplantation, or local ablation). Asymptomatic patients with multinodular HCC (stage B) are suitable for transcatheter arteri..
HCC, Potentially resectable disease & unresectable disease treatment options 국소 간세포암의 선호되는 치료는 수술적 절제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들은 기저 간기능장애 또는 종양 범위로 인하여 수술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 Child-Turcotte-Pugh A cirrhosis처럼 적절한 간기증이 있는 환자에서 curative partial hepatectomy가 최적의 치료이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환자는 간혈관 침범이 없고 간문맥고혈압 증거가 없고 간기능이 잘 유지되고 있는 solitary HCC입니다. 잘 선택된 환자의 장기적으로 재발이 없는 비율은 평균 40% 이상이고 5년 생존률은 90% 이상입니다. 많은 외과의들이 지름 5 cm 이하를 수술적 절제의 적격이라고 제한하지만 수술적 절제를 위한 종양 크기에 관한 일반적인 규칙은 없습니다. 크기가 작을수록 더 나..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XIV 항바이러스 내성 항바이러스 내성 발생은 초치료 약제로서 엔테카비어와 테노포비어(테노포비어DF 및 테노포비어AF 모두 포함) 등 유전자 장벽이 높은 약제를 사용한 이후에는, 과거에 비하여 그 위험성이 많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치료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항바이러스제 내성이 발생할 경우 억제되던 HBV 증식이 다시 활발해지고 이에 따라 호전을 보이던 혈청 간효소 수치가 증가하며 간질환이 다시 진행하게 되므로 이를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하게 대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항바이러스 내성의 발생 기전 및 정의인체 내에서의 HBV는 하루에도 1011 virion 이상이 새로 만들어지며 자연 상태에서도 바이러스 증식 도중에 수많은 돌연변이가 발생하게 된다. HBV의 돌연변이는 preS/S, polymerase, prec..
2018 간세포암종 진료 가이드라인 [보조요법] 보조요법(adjuvant therapy)은 일반적으로 근치적 치료 후 재발을 막기위해 추가적으로 시행하는 치료를 말하는데, 간세포암종의 경우 근치적 간절제 후 재발률이 5년에 약 50-70% 전후로 높기에(간절제편 참조) 재발을 막기 위한 보조요법은 시급한 과제이다. 근치적 치료 후 보조요법으로 경동맥화학색전술, 간동맥으로 방사성 동위원소인 Iodine-131을 주입하는 요법, vitamin K2537 나 vitamin A 유도체를 이용한 보조요법 등이 연구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임상적인 유용성이 입증되지 못했다. 세포독성 전신화학요법과 소라페닙 역시 보조요 법으로 유용하다는 근거는 없다. Takamaya등이 환자에서 유래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cytokine induced killer cell, C..
2018 간세포암종 진료 가이드라인 [전신치료] 2018 간세포암종 진료 가이드라인 [전신치료] 전신치료전신치료(systemic therapy)는 혈류를 통해 신체 전반과 목표 세포에 도달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치료방법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암종의 성장, 전이 등에 관여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체계를 표적으로 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을 분자표적치료(molecularly targeted therapy, MTT)라고 통칭하며, 암종과 싸우는 내재적 면역체계를 도와서 암 치료를 하는 방법을 항암 면역치료(immunotherapy)라고 통칭한다. 간세포암종의 전신치료 약물로는 과거부터 사용되었던 세포독성화학요법제(cytotoxic chemotherapy), 최근에 개발된 분자표적치료제 및 면역치료제 중 하나인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