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염내과

2018.34-3.10 인플루엔자, 장관감염증 발생 현황 REF. 질병관리본부 주간 국내외 감염병 동향
예방접종의 이득, Benefits of vaccines 예방 접종은 가장 효과적인 예방 건강 조치 중 하나입니다 (그림 1) Effectiveness of routine childhood immunizations 일상적인 예방 접종을 받은 후 미국에서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는 대부분의 질병 사례가 90 % 이상 감소했습니다. 예방 접종은 예방 접종을 받은 자녀에게 직접 혜택을 줍니다. 그들은 또한 간접적으로 지역사회("herd") 면역을 통해 면역이 없는 사람들에게 이익을 줍니다. 지역사회 면역(community immunity, herd immunity)은 감염에 면역이 있는 집단이 전염의 위험을 줄이기에 충분할 정도로 클 때 발생합니다. 지역사회 면역은 예방접종 하기에 너무 어린 어린이와 예방 접종에 금기인 사람들을 보호해 줍니다. 이것은 일상적으로 권장..
라싸열의 역학과 전염, Lassa fever, geography and transmission 라싸열은 라싸 바이러스 (Lassa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출혈성 질환입니다. 라싸 열은 1969년 나이지리아의 라싸(Lassa)에서 처음으로 인지되었으며 서아프리카 풍토병입니다. 매년 약 300,000 건의 발생과 5000 건의 사망이 있습니다. 동물 reservoir는 설치류 "multimammate rat"(Mastomys natalensis)입니다. 인간에 대한 전염은 감염된 설치류의 소변, 대변과의 접촉과 사람과 사람 간의 접촉을 통해 발생합니다. Lassa 바이러스는 Arenaviridae 계통에 속하는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이며 카테고리 A 생물 테러 제제로 분류됩니다. Geography 라싸열은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 리온, 나이지리아, 베냉, 가나, 말리 등 서 아프리카의 일..
말라리아 예방약 복용 중 부작용으로 인한 약제 변경 REF. https://wwwnc.cdc.gov/travel/yellowbook/2018/infectious-diseases-related-to-travel/malaria#5216
말라리아 예방약, Drugs used in the prophylaxis of malaria https://wwwnc.cdc.gov/travel/yellowbook/2018/infectious-diseases-related-to-travel/malaria#5216
Mefloquine 내성 지역 여행자들에게 말라리아 예방약을 처방할 때 고려할 점 Mefloquine 내성 지역 여행자들에게 말라리아 예방약을 처방할 때 고려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Atovaquone-proguanil(말라론)을 처방할 것인가? 독시싸이클린을 처방할 것인가? 말라론의 큰 장점은 귀국 후 7일 정도만 복용하면 된다는 점 말라론의 큰 단점은 비용이 비싸다는 점 독시싸이클린의 큰 장점은 비용이 제일 싸다는 점 독시싸이클린의 큰 단점은 귀국 후 4주 동안 약을 복용해야 한다는 점 두 약제 모두 출발 1-2일 전에 복용한다는 것과 매일 복용한다는 것은 같습니다. REF. https://wwwnc.cdc.gov/travel/yellowbook/2018/infectious-diseases-related-to-travel/malaria#5216
Renal 또는 perinephric abscess의 parenteral antibiotics Renal 또는 perinephric abscess의 parenteral antibiotics① 경험적 치료 - 경험적 항생제 선택은 농양의 의심되는 병원균에 달려 있습니다. 신우신염과 관련된 농양 상황에서, 경험적 치료법은 Enterobacteriaceae를 대상으로 해야 합니다. 대조적으로, 포도상구균 균혈증과 관련된 농양의 경우, 치료는 이 병원균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원인균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perinephric 농양에서, 농양이 미생물학적으로 유일한 표본일 수 있으므로 drainage를 즉시 시행할 수 있고 환자가 안정적이라면 경험적 항생제는 지연될 수 있습니다. 초기 경험적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비경구로 투여됩니다. 일부 항생제 옵션은 표 (표 1)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초기 경험적 항..
리프트밸리열, Rift Valley fever, RVF Diseases potentially acquired by travel to East Africa Rift Valley fever(RVF)는 Rift Valley fever virus에 의한 급성 열성 질환입니다. Rift Valley fever virus는 family of Bunyaviridae, genus Phlebovirus에 속합니다. 사람으로의 전파는 감염된 모기가 물었을 때 또는 좀 더 빈번하게는 감염된 포유류와 밀접히 접촉했을 때 발생합니다. RVF는 동아프리카의 많은 사바나 지역에서 발견되며 특이 우기 때 그러합니다. Rift Valley fever의 발병(outbreaks)는 서아프리카에서 또한 발견되어 왔습니다. Outbreaks는 케냐와 소말리라에서 있었고 가장 큰 것은 19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