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이유에서 SGLT2 억제제를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면
카나글리플로진, 다파글리플로진, 엠파글리플로진, 에르투글리플로진(스테글라트로정)을 선택하면 됩니다.
현재 급여 등재되어 우리나라에서 처방 가능한 약제는 dapagliflozin 포시가, empagliflozi 자디앙, ipragliflozi은 슈글렛, ertugliflozin 스테글라트로입니다.
카나글리플로진인 인보카나정은 식품의약품안정청의 승인은 받았으나 보험 급여 등재는 안되어 있습니다.
스테글라트로정(steglatro, ertugliflozin)은 식사와 관련 없이 오전 1회(하루 1회) 복용합니다. 초기 용량은 5 mg, 하루 1회이며, 최대 하루 1회 15 mg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Steglatro(에르투글리플로진, ertugliflozin)은 eGFR이 < 30 ml/min인 환자에서 금기이며, eGFR of 30 ~ 60 mL/min인 환자에서는 권고되지 않습니다. eGFR이 60 mL/min 미만으로 지속적으로 떨어져 있는 ertugliflozin(스테글라트로, steglatro)을 복용 중인 환자에서는 중단해야 합니다.
평균 A1C 7.8%로 메트포민으로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은 제 2형 당뇨병 환자 1326명을 대상으로 한 52주 이중맹검 시험에서 glimepirde(혈장 혈당에 근거하여 적정, 평균 용량은 하루 3 mg)와 ertugliflozin(5 mg 또는 15 mg)을 무작위로 할당하였습니다. 에르투글리플로진(스테글라트로) 15 mg으로 평균 당화혈색소 감소는 glimepiride보다 noninferior 결과를 나타냈습니다(각각 -0.6, -0.7%). 스테글라트로(ertugliflozin)는 체중을 감소시켰고(-3.4 kg 체중 감소, 글리메피리드는 + 0.9 kg 증가), 덜 빈번한 심각한 저혈당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각각 < 0.2 %, 2.3%). 그러나 좀 더 빈번한 생식기 감염이 있었습니다(여성에서 각각 10% 대 1.4%)
REF. UpToDate 2019.03.01
'내분비내과 > 당뇨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다글립틴, 가브스정, Vildagliptin, Galvus Tab (0) | 2019.03.19 |
---|---|
프레가발린, 리리카, Pregabalin, Lyrica [당뇨병성 신경병증성 통증] (0) | 2019.03.12 |
시타글립틴, 자누비아정 (25 mg, 50 mg, 100 mg), Sitagliptin, Januvia [당뇨병 치료제] (0) | 2019.03.11 |
자누비아, 시타글립틴, 용량, Januvia, sitagliptin, dosing (0) | 2019.03.08 |
GLP1R agonist에서 인슐린으로 전환, GLP1R agonists, switching to insulin (0) | 2019.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