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화기내과(위장관)/식도

약제 유발성 식도염의 병리기전,Medication-induced esophagitis, pathogenesis

728x90
반응형


5명의 약제 유발성 식도염 사진입니다.



약제 유발성 식도염 발생의 제안된 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Direct irritant effect

Delayed esophageal transit에 대한 위험 인자가 있는 환자에서, 약제 유발성 식도염은 식도 점막과 약제의 지속적인 접촉이 원인이라는 가설이 있습니다. 이 가설은 알약이 녹으면서 방출되는 약제의 높은 농도와 식도의 접촉이 있는 국한된 지역에 small, punched-out ulcer를 나타낸다는 사실로 지지됩니다. 게다가 식도 손상의 위치가 빈번하게 aortic arch, esophagogastric junction, enlarged left atrium에 의해 압박되는 위치입니다.

1) Local acid burn : Doxycycline, tetracycline, ascorbic acid, ferrous sulfate, emepronium과 같은 약제는 국소적 caustic injury를 일으키는 데 그 이유는 이 약제들이 물이나 침에 의해 녹으면 pH가 3 미만으로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2) Local hypersomolality : Potassium chloride와 같은 hyperosmotic solutions은 조직 파괴와 혈관 손상을 일으켜 식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Disruption of the cytoprotective barrier

아스피린과 NSAIDs는 식도와 위의 정상적인 세포보호 프로스타글란딘 barrier를 파괴함으로서 식도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REF. UpToDate 2019.01.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