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내과/당뇨병

Management of Hyperglycemia in T2DM, 2018. A Consensus Report by the ADA and EASD (4)

728x90
반응형

ASCVD가 있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GLP-1 receptor agonists와 SGLT2 inhibitors 권고와 연구 내용에 대한 부연
 
1. GLP-1 receptor agonists와 SGLT2 inhibitors의 ASCVD 결과 이득의 증거가  established ASCVD가 있는 환자에서 입증되었을지라도, 혈당 하강을 넘어서는 이득의 증거가 ASCVD가 없는 환자에서는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실제로 이 연구들의 하위 분석에서 낮은 위험의 환자들은 ASCVD 이득이 없었으며 이 소견들은 보고된 연구들 전반적으로 일치합니다. [ASCVD가 확립된 환자에서는 GLP-1 receptor agonists와 SGLT2 inhibitors가 ASCVD에 대해 이득이 있었으나 ASCVD가 없는 환자에서는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2. 대체적으로 DPP4 억제제의 CVOTs은 안정성을 입증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primary MACE end point에 대해 placebo와 비교하여 열등하지 않다(oninferiority)는 것입니다. 그러나 심혈관 이득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안전하다는 것이지 심혈관 이득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3. 
제2형 당뇨병과 임상적인 CVD가 있는 환자에서 심혈관 사건 감소의 증거는 당화혈색소 > 7%인, 즉 목표 혈당에 도달하지 못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나왔습니다. 더구나 대부분의 참여자(~ 70%)들은 기저 메트포민으로 치료 받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임상적인 CVD가 있고 목표 혈당에 도달하는 못한 메트포민을 복용 중인 환자에게 심혈관 위험 감소가 입증된 GLP-1 receptor agonists 또는 SGLT2 inhibitors를 권고합니다. 당화혈색소가 7% 미만인 환자에서 심혈관 위험을 줄이기 위해 SGLT2 inhibitor 혹은 GLP1 receptor agonist 처방을 지지하는 임상 데이터는 없습니다.
 


REF.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