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내과/당뇨병

Management of Hyperglycemia in T2DM, 2018. A Consensus Report by the ADA and EASD (1)

728x90
반응형



그림 2는 제2형 당뇨병 에서 혈당강하 약물에 대한 우리의 새로운  consensus를 나타냅니다.
 왜냐하면 established CVD에서 사망률, 심부전, 신장 질환 진행의 감소를 위한 특정 약물 이득이 새롭게 입증되었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consensus reports로부터의 주요 변화는 CVD 또는 CKD가 확립된 환자에서 특정 SGLT2 inhibitors 또는  GLP-1 agonists가 심혈관 사건뿐만 아니라, HF 및 신질환 진행과 같은 이차 결과를 향상시킨다는 새로운 증거에 기반합니다. 따라서 이 새로운 접근법 (그림 3)의 중요한 초기 단계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15-25 %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ASCVD, HF 및 CKD의 존재 또는 부재를 고려하는 것입니다. 확립된 CVD이거나 CVD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특정 약제의 사용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증거가 2-5 년에 걸쳐 상당한 이익을 나타내는 대규모 심혈관 결과 연구(CVOT)에서 유래되었지만, 각 연구가 단일 시험을 구성한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lass effects인지 각 약제의 효과인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ASCVD는 연구마다 다소 다르게 정의되지만 모든 연구들은 established CVD(예, 심근경색, 뇌졸중, any revascularization procedure)를 등록하였습니다. 반면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atherosclerosis(예, TIA, 입원한 불안정 협심증, 절단, 심부전 NYHA class II-III, 어느 부위 동맥의 50% 초과 협착, 영상 검사도 증명된 증상이 있는 또는 없는 CAD, eGFR < 60 미만의 CKD)와 관련된 조건들은 다양합니다. 

REF.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