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당뇨 합병증 발생 위험에 대한 하루 중 또는 매일 측정하는 혈당 수치의 변동의 효과는 불확실합니다. Free radicals이 내피 손상 및 죽상 경화성 플라크의 형성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론적 임상적 함의(implications)가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에서 만성 고혈당(A1C로 측정)의 관리 외에도 매일의 혈당 변동을 통제하는 것이 미세 및 대혈관 질환 예방에 중요할 수 있다고 가정 할 수 있습니다. DCCT의 데이터 분석 결과, 망막증은 A1C로 측정한 평균 포도당 조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지만, 하루 중 혈당 변동은 망막증 발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혈당 변동성이 합병증 위험의 독립적인 예측 인자로 확립되기 위해서는 추가 자료가 필요합니다.
REF. UpToDate 2018.09.02
728x90
반응형
'내분비내과 > 당뇨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라글루타이드(삭센다, 빅토자), Liraglutide(Saxenda, Victoza) (0) | 2018.09.07 |
---|---|
Prediabetes에서 type 2 diabestes 예방 위한 약물 (0) | 2018.09.06 |
DPP4 inhibitors, adverse effects, skin (0) | 2018.09.02 |
SGLT2 inhibitors, amputations (0) | 2018.09.01 |
스테글라트로(에르투글리플로진), Steglatro(ertugliflozin), MSD (0) | 2018.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