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월 31일 15가 폐렴사슬알균 단백결합백신(15-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PCV15)이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았다[1].
PCV15은 PCV13의 혈청형과 22F, 33F 혈청형을 포함하고 있다. PCV15은 PCV13과 공유하는 13개의 혈청형에 대해서는 비열등성을 만족하였고, 혈청형 3, 22F, 33F에 대해서는 우월한 면역원성을 보였다[2-4]. PCV15과 23가 다당류 폐렴사슬알균 백신(23- 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PPSV23)을 순차접종 할 때, PCV13과 PPSV23를 순차접종 할 때와 유사하거나 우월한 면역원성을 보였다[5]. 면역저하 환자나 기저질환자에서도 면역원성은 위의 결과들과 유사하였다[6,7].
2015-2022년 질병관리청에 신고된 전체 침습성 폐렴사슬알균 감염 환자 중 65세 이상이 54.7%를 차지하였고, 사망자 중에서는 60세 이상이 전체의 83.8%를 차지하여 고령자에서 침습성 폐렴사슬알균 감염증의 질병부담이 높았다[8]. 혈청형 3은 국내 성인 침습성 폐렴사슬알균 감염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전체의 13.8%, PCV13 혈청형 중에서는 43%를 차지한다. PCV15에 있고, PCV13에 없는 혈청형인 22F, 33F 혈청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4.3%이었다[9]. 따라서, 혈청형 3, 22F, 33F 폐렴사슬알균에 대한 우월한 면역원성, PCV13과 공유하는 혈청형에 대한 비열등성, 고령자의 높은 질병부담, 혈청형 3의 높은 비중을 고려하여,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위원회는 PCV15 접종을 PCV13 접종보다 우선적으로 권고한다(표1).
전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각국의 상황에 따라서 PCV13을 PCV15으로 대체하거나 [10, 11, 12, 13], PCV13과 PCV15을 동일한 수준으로 권고하고 있다[11, 14].
표1. 19세 이상 성인에서 위험군별 폐렴사슬알균 백신의 접종 횟수, 순서 및 간격
'감염내과 > 예방접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B형간염 예방접종] 3차까지 맞은 후 항체 검사를 해야 하나요? (0) | 2025.01.13 |
---|---|
B형간염 예방접종을 3차까지 맞은 것이 (documented) 10년이 다 되어 가는데 10년 정도 지나면 다시 B형간염 예방접종을 맞아야 하나요? (0) | 2025.01.11 |
가다실9, HPV백신 (접종 적응증과 스케쥴) Quiz (0) | 2024.04.02 |
말라위 소아를 대상으로 한 4년간의 3상 무작위 대조 시험의 최종 분석 : typhoid conjugate vaccine의 효능 (0) | 2024.03.10 |
가다실9, 스케쥴 중단 시 처음부터 다시 접종해야 하는지?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