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정적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SSS의 진단은 종종 surface ECG로 합니다.
심전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심한 서맥( < 50 BPM)
2) sinus pause, arrest, SA exit block c/s atrial and junctional escape rhythms
3) alternating bradycardia and atrial tachyarrhythmias(50% 이상의 경우에)
AF이 가장 흔하고 atrial flutter와 PSVT(예, AT)가 또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4) atrial arrhythmia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느려지는 것 같고 아마도 SA node와 atrium에 영향을 주는 점진적인 병적 과정의 결과 같습니다.
증상이 있는 SSS 환자는 주로 고령이고 빈번하게 동반 질환이 있습니다. SSS를 앓고 있는 환자는 lightheadedness, presyncope, syncope 증상으로 내원하며, bradycardia와 tachycardia가 반복하는 환자는 심계항진, 빠른 심박수로 인한 증상들로 내원합니다. 병적인 심장이 공존하는 환자는 심박수 감소와 그에 따른 심박출량 감소와 관련하여 운동시 호흡 곤란 또는 가슴 불편함 악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증상은 본질적으로 다양할 수 있고 비특이적이며 빈번하게 일시적이기 때문에 때때로 증상 - 리듬 관계를 확립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심전도 이외의 검사를 하기 전에 약물 사용(예 : 베타 차단제, 칼슘 통로 차단제, 디곡신, 항부정맥제), 심근 허혈, 전신 질환(예 : 갑상선 기능 저하증), autonomic imbalance등의 가역성 원인에 대한 철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SSS는 임상 징후 및 증상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ECG 이상(예 : bradycardia, sinus pauses, sinus arrest)으로 정의됩니다. 특히 ECG 이상 단독이, 특히 sinus bradycardia의 경우에, SSS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고도로 적응된 육상 선수는 종종 증상이 없으면서 분당 60 회 이하의 심박수를 나타냅니다.
REF. UpToDate 2018.04.18
'심장내과 > 부정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방세동에서 심박수 목표, Heart rate targets in atrial fibrillation (2) (0) | 2018.05.05 |
---|---|
Atrial fibrillation with HFrEF에서 베타 차단제의 효과 (0) | 2018.05.04 |
AF with HFpEF/HFrEF, rate control (0) | 2018.05.04 |
심방세동, 약제 선택과 투여 경로, Atrial fibrillation, drug selection and route of administration (0) | 2018.05.03 |
심부전 환자에서 증상이 있는 AF 재발 예방, 아미오다론 (0) | 2018.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