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통성 갑상선염 (painless thyroiditis)에서 hyperthyroid phase인 경우 치료는 베타차단제입니다. 사용하는 약제로는 프로프라놀롤 또는 아테놀올입니다. 무통성 갑상선염은 chronic autoimmune thyroiditis (Hashimoto's thyroiditis)의 변형 형태로 간주되며 [part of the spectrum of thyroid autoimmune disease] 많은 무통성 갑상선염 환자들은 높은 수치의 antithyroid peroxidase antibodies와 antithyroglobulin (Tg) antibodies, thyroid autoimmune disease 가족력을 가지고 있고 일부는 몇 년 후에 overt chronic autoimmune thyroiditis로 발전합니다.
혈청 antithyroid peroxidase 수치는 진단 당시에 약 50%에서 높지만 Hashimoto's thyroiditis만큼은 아닙니다. 이 수치는 이후 몇 주 동안 상승할 수 있고 이후 감소하지만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화될 때까지도 여전히 높을 수 있습니다. anti-TSH receptor antibodies와 같은 다른 갑상선항체 또한 질환이 있거나 질환 직후 때때로 검출되기도 하지만 갑상선 기능 이상에 기여하는 것 같지 않습니다. 혈청 thyroglobulin 수치는 매우 높으며 이 수치는 갑상선 기능 회복 이후에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WBC는 보통 정상이고 ESR/CRP는 정상 또는 약간 상승합니다.
REF. UpToDate 2021.01.31
'내분비내과 > 갑상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 Subacute hypothyrodism, treatment (0) | 2021.01.31 |
---|---|
갑상선 수질암 임상발현 (증상과 징후), Clinical presentation of Medullary thyroid cancer [MTC] (0) | 2020.11.09 |
무통성 갑상샘염과 산후 갑상샘염, Painless thyroiditis and postpartum thyroiditis (0) | 2020.07.13 |
갑상선이 아닌 질환에서 낮은 혈청 T3, Low serum T3 in nonthyroidal illness [Sick euthyroid syndrome] (0) | 2020.07.05 |
항갑상선항체, Antithyroid antibodies (0) | 2020.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