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지역사회 획득폐렴과 비교할 때 혐기성 세균과 관련한 흡인 폐렴은 느리게 진행되며 오한은 드뭅니다. 일반적으로 치주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치과 위생이 좋은 환자와 치아가 없는 환자에게는 흔하지 않습니다. 병원 획득 흡인 폐렴에서는 종종 입원 환자의 구강에 상재하는 S. aureus 또는 gram-negative bacilli가 관련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는 기침, 열, 화농성 가래 및 호흡 곤란을 포함한 폐렴의 흔한 증상을 보입니다. 혐기성과 관련한 경우는 대개 몇 시간이 아닌 몇 일 또는 몇 주에 걸쳐 진행됩니다. 많은 환자들이 보다 만성적인 경과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체중 감량과 빈혈을 동반합니다. S. aureus 또는 gram-negative bacilli과 관련된 감염 또는 산 흡입의 경우에는 진행 속도가 훨씬 빠릅니다.
혐기성 세균과 관련한 흡인성 폐렴의 임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혐기성 세균 폐 감염은 속도가 느리므로, 많은 환자들은 lung abscess, necrotizing pneumonia, empyema를 포함한 농양, 괴사를 특징으로 하는 합병증으로 늦게 내원합니다.
● Indolent symptoms
● A predisposing condition for aspiration, usually compromised consciousness due to drug abuse, alcoholism, or anesthesia; or dysphagia
● Absence of rigors
● Failure to recover likely pulmonary pathogens with cultures of expectorated sputum
● Sputum that often has a putrid odor, which is considered diagnostic of anaerobic infection
● Concurrent evidence of periodontal disease
● Chest radiograph showing involvement of the dependent portions of the lung or segments obstructed by malignancy, stricture, or foreign body
● Chest radiograph or computed tomography (CT) scan showing evidence of pulmonary necrosis with lung abscess and/or an empyema
● Gram stain of appropriate specimen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 morphologic features of anaerobes in large numbers, preferably in respiratory specimens that are uncontaminated by the flora of the upper airways
Chest radiographs usually show involvement of dependent pulmonary segments, which are favored in aspiration:
1) the lower lobes when aspiration occurs in the upright position
2) the superior segments of the lower lobes or posterior segment of the upper lobes when aspiration occurs in the recumbent position.
REF. UpToDate 2019.08.07
'호흡기내과 > 폐렴, 폐농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흡입성 폐렴, 항생제 선택, Aspiration pneumonia, antibiotics selection (0) | 2020.05.06 |
---|---|
폐농양에서 경험적 항생제, Lung abscess, empiric therapy (0) | 2020.05.06 |
흡인성 폐렴을 일으키는 조건들, Conditions that predispose to aspiration (0) | 2019.08.07 |
폐렴 원인균 [외래, 입원, 중환자실] (0) | 2019.06.18 |
Mycoplasma-specific assays ① Molecular testing (0) | 2019.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