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dium

저나트륨혈증 초기 평가, Hyponatremia, initial evalation ② 저나트륨혈증 초기 평가, Hyponatremia, initial evalation ① https://blog.naver.com/sjloveu2/221591365354 Hyperlipidemia 또는 hyperproteinemia는 혈청 물 부분의 나트륨 농도 혹은 측정된 혈청 osmolality의 주된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혈청 나트륨 농도를 낮춥니다(그러므로 계산된 혈청 osmolality도 낮춥니다). 저나트륨혈증의 원인이 고혈당이 아니라면 다음의 원인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고혈당이 원인이라면 계산된 나트륨 농도는 정상이어야 합니다) 이 원인들로 인한 저나트륨혈증은 측정된 osmolality가 정상이거나 높습니다. 1) Patients with lipemic serum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pseu..
임신부 역류식도염에서 약제 사용,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in pregnancy 임신부 GERD의 초기 관리는 lifestyle과 dietary modification(예, 두부거상, 유발 음식을 삼가는 것)입니다. 증상이 지속적으로 있는 환자들에서는 제산제로 시작하고 이후에 sucralfate를 사용합니다. 이것에도 반응이 없는 경우에는 비임신 환자와 유사하게 H2RAs와 PPI가 증상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제산제는 임신부에서 안정하고 수유기에도 비슷합니다. 그러나 sodium bicarbonate와 magnesium trisilicate를 함유하고 있는 제산제는 임신부에서 피해야 합니다. Sucralfate는 임신부와 수유기에 안정한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거의 흡수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제산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적이라면 우리는 sucra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