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tinopathy

당뇨병성 망막병증 분류와 예방방법 당뇨병성 망막병증 (diabetic retinopathy, DR)는 2가지 형태가 있는데 nonproliferative DR와 proliferative DR이고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망막에서 나오는 비정상 신생 혈관의 존재하고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입니다. ​ Nonproliferative DR (NPDR) 소견은 nerve-fiber layer infarcts (cotton wool spots), intraretinal hemorrhages, hard exudates and microvascular abnormalities (microaneurysms, occluded vessels, dilated or tortuous vessels)이며 NPDR에서 시력 소실은 주로 macular edema (ME)..
당뇨병성 신증에서 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m의 단백뇨 감소 효과 이뇨제는 일반적으로 혈압 감소에도 불구하고 antiproteinuric effect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s는 단독으로 사용될 때 단백뇨를 줄이는 것 같으며 제1형과 제2형 당뇨병에서 ACE 억제제 또는 ARB와 함께 사용되었을 때 단백뇨에 부가적인 이득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뇨제로 인한 추가적인 혈압 강하가 이 유익한 효과를 완전히 설명하지 못합니다. 이것은 고용량의 리시노프릴(80mg / day)로 치료를 하였던 당뇨병, 고혈압, 단백뇨가 있는 81명을 포함한 placebo-controlled trial에서 입증되었습니다. Lisinopril 외에도 환자에게 spironolactone (25 mg / day), ..
고혈압성 뇌증 치료 약물, Hypertensive encephalopathy, drugs 상당히 상승한 혈압(수축기 혈압 ≥180 및/또는 이완기 혈압 ≥120mmHg)의 대부분은 급성, 말단기관 손상이 없습니다(severe asymptomatic hypertension이라고 합니다). 일부에서는 이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항고혈압 치료 시작을 제안하지만, 그러한 적극적인 치료에는 이점보다 더 많은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조적으로, 혈압이 상당히 상승한 일부 환자는 표적 장기 손상이 심하고 계속 진행되는 징후나 증상이 있습니다. 그러한 환자는 hypertensive emergency입니다. 뇌졸중과 두부 외상과 달리 고혈압 뇌증의 징후와 증상(예 : 두통, 혼미, 오심, 구토)는 혈압이 낮아지면 완화됩니다. 실제로 고혈압성 뇌증은 배제적 진단이며 대부분 혈압이 자동 조절 범위로 낮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