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phrology 썸네일형 리스트형 [Nephrology] Classification of diabetes insipidus in hypernatremic patients 요붕증 (diabetes insipidus, DI) 환자들 중에 인지 장애가 없고, 물을 마실 수 있다면 (접근의 용이성) true hypernatremia는 발생하지 않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초기의 수분 손실은 갈증을 자극하고 소변 손실에 맞도록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Osmotic regulation of ADH release and thirst Relation between plasma ADH concentration and plasma osmolality in normal humans in whom the plasma osmolality was changed by varying the state of hydration. The osmotic threshold for thirst i.. 저칼륨혈증 증상의 발병기전, Pathogenesis of symptoms 저칼륨혈증으로 유발된 신경근육 증상과 심장 증상은 action potential 생성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Action potential (membrane excitability라고 불리는)을 생성하는 용이성은 resting membrane potential의 크기와 membrane sodium channels 상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나트륨 채널이 열리면 세포외 나트륨이 세포 안으로 passive diffusion 방식으로 들어오며, 이 과정의 주된 단계입니다. Nernst equation에 따르면, 휴지막 전위 (resting membrane potential)는 세포외 칼륨 농도에 대한 세포내 칼륨 농도의 비율과 관련이 있습니다. 골격근에서 혈청 (세포외) 칼륨 농도의 감소는 이 비율을 증가시키.. [Nephrology] Type A (alpha) intercalated cells and type B intercalated cell Type A intercalated cell Distal tubule lumen으로의 hydrogen ions 배설은 ㉠ connecting tubules과 collecting tubules의 type A (alpha) intercalated cells에 있는 luminal H-ATPase pump를 통해서 주로 이루어지고, ㉡ 이보다 적은 정도로 hydrogen ions을 분비하고 ptassium을 재흡수하는 H-K-ATPase pump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H-ATPase pump 1. electrogenically secretes hydrogen ions H-K-ATPase pump (electrically neutral) 1. secretes hydrogen ions and reabsorbs.. [Nephrology] Distal RTA, proximal RTA , nonRTA-induced hyperchloremic metabolic acidosis 구분 [Nephrology] Distal RTA와 nonRTA-induced hyperchloremic metabolic acidosis 구분 : UAG, UOG https://blog.naver.com/sjloveu2/222052476035 이전 블로그 글 (↑)과 이번 블로그 글 (↓)을 천천히 읽어 보시면 renal tubular acidosis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은 renal tubular acidosis 진단과 그 아형인 RTA type 1과 type 2 구분, 그리고 설사와 같은 다른 기전에 의한 저칼륨혈증, 정상 음이온차 대사성 산증과의 차이를 아는 것입니다. Type 4 RTA는 hyperkalemia를 나타내므로 hypokalemia, metaboli.. [Nephrology] 부적절 항이뇨 증후군의 치료, Therapy of SIAD 부적절 항이뇨 증후군의 치료의 기본은 저나트륨 교정입니다. 어떻게 교정할 것인가? 학생 때 보던 해리슨을 버려서 예전 책에는 어떻게 기술되었는지 보고자 2007년 워싱턴 매뉴얼을 살펴보았습니다.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1. 저나트륨혈증을 너무 빨리 교정하면 체액 증가가 있으면서 central pontine myelinolysis (CPM)이 발생할 수 있다. 24시간 동안 12 mEq/L 이상을 교정하면 위험이 증가하며 24시간 동안 천천히 교정해서 > 12 mEq/L로 올리는 것이 처음에 아주 빨리 교정해서 이후 몇 시간 동안에는 천천히 교정하는 것보다 더 위험하다. 즉, 초기에 아주 빨리 교정했다가 이후 몇 시간에 걸쳐 속도 조절을 하여 그 결과가 .. Proximal renal tubular acidosis(pRTA or type II) 임상 증상과 병태생리 기전에 따라 RTA는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1. Proximal (pRTA or type II) 2. Distal (dRTA or type I) 3. Hyperkalemic (or type IV) RTA 4. RTA type III [ie, combined pRTA and dRTA] Proximal (pRTA or type II) pRTA는 proximal tubule에서 HCO3- reabsorption 결함이 원인입니다. 이것은 NHE3 또는 H+-ATPase에 의한 H+ secretion의 결함, luminal 또는 cytosolic carbonic anhydrase의 손상, Na+/3HCO3- cotransporter NBCE1에 의한 HCO3- exit의 결함에 의해 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