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rynebacterium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 병태생리, Corynebacterium diphtheria, pathophysiology 증상이 있는 디프테리아 감염은 호흡기 또는 피부의 국소 염증뿐만 아니라 강력한 디프테리아 외독소의 국소 및 전신 효과에 기인합니다.​외독소(exotoxin) 생산은 toxin (tox+)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lysogenic bacteriophage의 존재에 달려있습니다. Toxin은 총 세 개의 domains이 있습니다. 하나의 domain은 fragment A(the catalytic unit)에 존재하고, 나머지 두 domains은 fragment B에 있습니다. 하나는 수용체 결합(receptor binding)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membrane insertion 및 translocation에 관여합니다.​디프테리아 독소는 세포 내부에서 작용하여 elongation fact..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 치료 부분에서 항독소, Corynebacterium diphtheria, treatment and antitoxin 치료 호흡기 디프테리아(respiratory diphtheria)의 치료는 항생제 치료와 심한 경우 디프테리아 항독소로 구성됩니다. 조심스러운 기도 관리는기도 폐쇄의 위험 때문에 중요합니다. 또한 환자는 심근 손상의 강도를 반영하는 심근 효소 및 심전도 측정을 통해 모니터링 해야 합니다. 신경학적 상태도 신중하게 모니터링 해야 합니다.​호흡기 디프테리아 환자는 호흡기 질환에 대한 respiratory droplet isolation 및 피부 질환에 대한 contact precautions를 취해야 합니다. 적어도 24 시간 간격으로 두 번 연속 배양 음성이 될 때까지 격리를 계속해야 합니다. ​피부 디프테리아(cutaneous diphtheria)의 치료는 항생제 치료로 이루어집니다. Pseudoteme..
호흡기 디프테리아의 임상 증상, Clinical manifestations of Respiratory diphtheria 호흡기 디프테리아(respiratory diphtheria)는 일반적으로 클로스트리디움 디프테리아(C. diphtheriae)의 독소 생산 균주에 의해 유발됩니다. 드물게 다른 코리네 박테리움 종(C. ulcerans, C. hemolyticum, 또는 C. pseudotuberculosis)의 독성 생성 균주에 의해 유발되기도 합니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감염 후 2 ~ 5 일에 시작됩니다. 호흡기 증상 이외에도 디프테리아 독소의 흡수 및 파급(dissemination)은 심장 (심근염), 신경계 및 신장의 독소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증상의 시작은 일반적으로 점진적입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인후통, 권태감, cervical lymphadenopathy 및 low-grade fever입니다. 가장 ..
검사실 특징에 따른 그람 양성 간균의 분류, Classification of gram-positive bacilli by laboratory features Classification of gram-positive bacilli by laboratory features 코리네박테티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는 non-branching, non-spore forming aerobic Gram positive bacilli입니다.​참고문헌 : UpToDate 2019.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