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lse 썸네일형 리스트형 맥압을 증가시키는 원인 맥압을 증가시키는 원인 맥압 증가는 동맥의 탄성 변화 및 동맥 경화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수축기 혈압을 증가시키거나/또는 이완기 혈압을 감소시킵니다. 맥압 변화는 주로 수축기 혈압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므로, 수축기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먼저 검토합니다. 수축기 혈압 증가 특히 노인에서 수축기 혈압 상승은 주로 큰 대동맥의 경화와 조기 맥파 반사 (early pulse wave reflection)로 인한 것입니다. 비록 젊은 환자들 (30세에서 49세)에서 말초 혈관 저항의 증가가 고혈압의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구성 요소로 보이지만, 말초 혈관 저항의 역할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감소합니다. 노화가 혈관 경화에 미치는 알려진 효과를 고려할 때, 고령 환자들에서 (>55세) 맥압 증.. 동서맥, Sinus bradycardia 동서맥(sinus bradycardia)는 신체 진찰 pulse taking에서 slow pulse를 확인한 이후에 ECG(심전도)로 확진을 합니다. 진단은 12 leads 심전도(EKG)로 하며 보통 쉽습니다. Leads II, III, aVF에서 P 파가 upright이며 aVR에서 P파가 negative인 것은 서맥이 sinus origin임을 시하합니다.AV block과 같은 bradyarrhythmias의 다른 원인들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증상이 없는 sinus bradycardias는 치료 적응증도 아니고 치료할 필요로 없습니다.증상이 있을 경우 처치는 따로 정리합니다.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였으나 부정맥이 원인이었던 환자 20대/남자 과식한 후에 명치 쪽이 두근거리고 트림이 나온다. 싸한 느낌이 든다. 설사 없음 속쓰림 까지는 아니다. 우리는 흔히 명치 쪽이 두근거린다라고 표현을 하지는 않습니다. Pulse taking에서 dropped bests을 확인하였고 증상과 관련성이 있었습니다. 증상이 꾸준히 있는 것이 아니라 intermittent, 몇 초 위장관 증상은 꾸준히 증상이 나타나는 편이지 몇 초 지나가지는 않습니다. Pulse taking에서 PVC로 추정되는 리듬이 지나가지만 막상 심전도 상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누우면 부정맥이 덜 지나감). Arrhythmia Pulse taking의 중요성! 이전 1 다음